연일정씨(延日鄭氏) 강화공파(江華公派)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획/특집

연일정씨(延日鄭氏) 강화공파(江華公派)

동곡재(인천시 연수구 동춘동 소재).jpg

동곡재(인천시 연수구 동춘동 소재)

 

1. 씨족연원(氏族淵源)

(1) 시조(始祖)
① 연일정씨(延日鄭氏)의 원류(源流)는 취산(觜山) 진지촌(珍支村)의 촌장(村長)이었던 지백호(智伯虎)로 하나 연대가 워낙 오래고 고증(考證)이 없으므로 계대(系代)를 상고(詳考)할 수 없어 그 원손(遠孫)으로 신라 때 간의대부(諫議大夫)를 지낸 정종은(鄭宗殷)을 도시조(都始祖)로 한다. 정종은(鄭宗殷)의 후손 정의경(鄭宜卿)이 영일호장(迎日戶長)을 지내고 영일현백(迎日縣伯)에 봉해졌으므로 그 후손들이 본관을 영일(迎日)로 하였다 한다. 본관은 연일(延日)의 옛 지명인 영일(迎日)로 쓰기도 하고, 영일(迎日)의 마을인 오천(烏川)으로 쓰기도 한다.
② 연일정씨는 소목(昭穆)을 밝히지 못하는 두 개의 파가 있다. 하나는 고려 의종 때 중신으로 추밀원지주사(樞密院知奏事)를 지낸 정습명(鄭襲明)을 1세조로 하는 지주사공파(知奏事公派)인 정몽주(鄭夢周)·정문예(鄭文裔)계와 고려 때 감무(監務)를 지낸 정극유(鄭克儒)를 1세조로 하는 감무공파(監務公派)인 정사도(鄭思道)·정철(鄭澈)계로 나누어져 있다. 이 두 파는 선계(先系)의 실전(失傳)으로 계촌(計寸)하지 못하고 고증(考證)할 길이 없어 족보편찬과 종친회 활동을 각각 하고 있다.

 

(2) 정몽주(鄭夢周)와 정철(鄭澈)을 배출한 명문가(名門家)
① 사림파(士林派) 학문의 연원(淵源)이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로부터 시작되어 동방이학(東方理學)의 조종(祖宗)으로 추앙(推仰)받는다. 
② 가사문학(歌辭文學)의 대가로 국문학사상 중요한 <관동별곡>, <사미인곡> 따위의 가사 작품과 시조 작품을 남긴 송강(松江) 정철(鄭澈)을 배출하였다.

 

(3) 분파(分派)
① 지주사공파(知奏事公派)에서 문충공파(文忠公派), 생원공파(生員公派), 문계공파(文繼公派), 문손공파(文孫公派), 사정공파(司正公派), 정랑공파(正郎公派), 만호공파(萬戶公派), 도사공파(都事公派)로 분파(分派)되었다.
② 감무공파(監務公派)는 강화공파(江華公派), 원평공파(原平公派), 부마공파(駙馬公派), 판결공파(判決公派), 이의공파(吏議公派), 위양공파(威襄公派), 김제공파(金堤公派), 오성군파(烏城君派)로 분파(分派)되었다.
③ 양숙공파(良肅公派)에서 덕성군파(德成君派), 효성군파(孝成君派)로 분파(分派)되었다.

 

(4) 연일정씨(延日鄭氏) 관내 세거(世居) 현황


①『2000년 인구주택총조사 성씨 및 본관보고서』에 의하면 고령군 관내에 연일정씨(延日鄭氏)는 21가구 71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② 내부주사(內部主事) 정극원(鄭極源)의 후손이 대가야읍 일원에 세거하였으나 이촌향도(離村向都, Rural Exodus)현상으로 대도시로 이거(移居)하였다.

 

2. 현조(顯祖)

 

(1) 고려(高麗)
① 정극유(鄭克儒)
고려에 벼슬하여 감무(監務)로 현감(縣監)에 이르다. 생각하니 고려 사행전(士傳)이나 성원총록(姓苑叢錄)에 다 공으로써 간의공(諫議公) 정종은(鄭宗殷)의 21세손을 삼았고 구보(舊譜)인 공으로써 호장공(戶長公) 정의경(鄭宜卿)의 21세손을 삼았으므로 이제 양설(兩說)을 병기(倂記)하여 이로부터 비로소 소목(昭穆)의 차례를 얻었다. 중시조(中始祖)이다.
② 정창우(鄭昌祐)
정극유(鄭克儒)의 아들이다. 진사(進士)로 조의대부(朝議大夫) 판예빈시사(判禮賓寺事)로 증직(贈職)되었다.
③ 정균지(鄭均之)
진사(進士) 장창우(鄭昌祐)의 아들이다. 검교군기감(檢校軍器監)을 지내고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에 증직되었다.
④ 정윤(鄭潤)
검교군기감(檢校軍器監) 정균지(鄭均之)의 아들이다. 봉선대부(奉善大夫) 헌부의랑지제교(讞部議郎知製敎)를 지냈다.
⑤ 정유(鄭侑)
헌부의랑지제교(讞部議郎知製敎) 정윤(鄭潤)과 급제(及第)한 남지탁(南之卓)의 따님 의령남씨(宜寧南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중현대부(中顯大夫) 종부서령(宗簿署令)을 지냈다.
⑥ 정사도(鄭思道)
초휘는 양필(良弼)이고 자는 사도(議郎思度), 호는 설곡(雪谷)이다. 종부서령(宗簿署令) 정유(鄭侑)와 헌부(讞部) 의랑(議郞) 채유길(蔡惟吉)의 따님 경원군부인(慶源郡夫人) 인천채씨(仁川蔡氏) 사이에서 충숙왕 5년(1318년)에 태어났다. 충숙왕 15년(1336년) 문과에 급제한 후 이름을 정사도(鄭思度)라 하였다가 공민왕 때 다시 정사도(鄭思道)로 고쳤다. 충목왕 1년(1344년) 좌헌납(左獻納)에 임명되었으며, 충목왕 3년(1347년)에 우대언(右代言)으로 정방제조(政房提調)가 되었으며, 1348년에 국자감시(國子監試)를 주관하여 시와 부를 시험하여 박형(朴形) 등 52명과 10운 시를 시험하여 김득제(金得齊) 등 46명을 선발하였다. 또한 공민왕 10년(1361년) 제2차 홍건적 침입이 있었을 때, 전직 밀직제학(密直提學)으로서 김규(金㺩)와 함께 절령책(岊嶺柵)을 지키는 임무를 부여받았으나 적의 공격을 받아 후퇴하였다. 1365년에는 경상도순문사(慶尙道巡問使)에 임명되어 합포(合浦 : 마산)에 있었는데, 마침 최영(崔瑩)이 신돈(辛旽)의 참소(讒疏)를 입고 동서강도지휘사(東西江都指揮使)에서 계림윤(鷄林尹)으로 전보되어 경주에 오게 되었다. 왕의 조처에 불만을 가진 신돈(辛旽)이 다시 일을 꾸며 보고하고 당류(黨類) 이득림(李得霖)을 경주에 보내어 최영을 사죄(死罪)로 엮어 죽이려고 하자, 이에 죽음을 무릅쓰고 반대하다가 파면되었다. 그 뒤 1368년에는 왕이 왕륜사(王輪寺)에 있는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의 영전(影殿)이 협소하다고 하여 마암(馬巖)으로 옮겨 짓도록 하였다. 이때에 정사도는 첨서밀직(僉書密直)으로 있었는데, 첨의시중(僉議侍中) 유탁(柳濯)의 제안에 따라 동지밀직(同知密直) 안극인(安克仁)과 함께 영전을 옮겨 짓는 일은 백성을 괴롭히고 재물을 낭비하는 것이므로 이 역사를 중지할 것을 건의하다가 왕의 비위를 건드려 순군옥에 일시 갇혔다가 곧 석방되었다. 1371년에는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로 승진되어 명나라에 하정사(賀正使)로 갔다왔으며 육로를 열어줄 것을 요청하였다. 우왕 1년(1375년)에는 당시의 권신 이인임(李仁任)을 죽이려 하였다고 의심받아 정몽주(鄭夢周)·김구용(金九容)·이숭인(李崇仁)·임효선(林孝先)·염정수(廉廷秀)·염흥방(廉興邦)·박형(朴形)·이성림(李成林)·윤호(尹虎)·최을의(崔乙義)·조문신(趙文信) 등과 함께 유배되었다. 우왕 5년(1379년) 졸(卒)하였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2) 조선
① 정홍(鄭洪)
진현관대제학(進賢館大提學) 정사도(鄭思道)와 예문관직제학(藝文館直提學) 정포(鄭誧)의 따님 상당군부인(上黨郡夫人) 청주정씨(淸州鄭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우왕 3년(1377년) 문과에 급제한 후 제릉서영(諸陵署令)이 되었다. 그 뒤 조선 정종 1년(139년)에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 태종 10년(1410년) 자헌대부(資憲大夫)·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가 되고, 이어서 보문각(寶文閣)의 대제학이 되었다. 최종관직에 관하여『국조황각록(國朝黃閣錄)』에는 우상(右相)이라 기록되어 있으나 공인되지 않고 있다. 세종 2년(1420년) 졸(卒)하였다. 시호는 공간(恭簡)이다.
② 정진(鄭鎭)
대제학 정홍(鄭洪)과 삼사좌복시(三司左僕寺) 오중화(吳仲華)의 따님 동복현부인(同福縣夫人)사이에서 태어났다. 평양백(平壤伯) 조준(趙浚)의 사위이다. 음서(蔭敍)로 18세에 대언(代言)에 임명되고, 정종 2년(1400년) 중추원부사(中樞院副使)에 임명되었다. 태종 9년(1409년) 도총제(都摠制)가 되고 뒤이어 형조판서(刑曹判書)‧중군도총제(中軍都摠制)‧판경승부사(判敬承府事)가 되었다. 태종 17년(1417년) 사은(謝恩)하기 위하여 중국 서울에 갔다가 우군도총제(右軍都摠制)가 되었다. 태종 18년(1418년) 공조판서(工曹判書)가 되었다가 다시 우군도총제(右軍都摠制)가 되었다. 세종 1년(1419년) 그의 나이 41세에 사망하였는데, 당시에 모두들 애석하게 여겼다. 시호는 정원(靖元)이다.
③ 정효손(鄭孝孫)  
우군도총제(右軍都摠制) 정진(鄭鎭)과 문충공(文忠公) 영의정부사(領議政府事) 조준(趙浚)의 따님 정경부인(貞敬夫人) 평양조씨(平壤趙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음서(蔭敍)로 겸사복(兼司僕)을 거쳐 강화부사(江華府使)를 지냈다. 연일정씨(延日鄭氏) 강화공파(江華公派) 파조(派祖)가 되신다.
④ 정기(鄭沂)
자는 노숙(魯叔)이다. 어모장군(禦侮將軍)행충무위사직(行忠武衛司直) 정서량(鄭恕良)의 아들이다. 중종 8년(1513년) 계유(癸酉) 식년시(式年試) 무과에 급제한 후 병절교위(秉節校尉) 내금위(內禁衛)를 거쳐 제주판관(濟州判官)을 지냈다.
⑤ 정수봉(鄭壽鳳)
제주판관(濟州判官) 정기(鄭沂)와 호군(護軍) 이언(李彦)의 따님 숙부인(淑夫人) 연주현씨(延州玄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율포만호(栗浦萬戶)를 지냈다.
⑥ 정창은(鄭昌殷)
자는 이성(而成)이다. 처사 정광덕(鄭光德)과 김계룡(金季龍)의 따님 金海金氏(金海金氏) 사이에서 순조 15년(1815년) 태어났다. 통정대부(通政大夫)를 지냈다. 고종 20년(1883년)에 졸(卒)했다.
⑦ 정택로(鄭宅魯)
자는 계백(啓伯)이다. 통정대부(通政大夫) 정창은(鄭昌殷)과 이덕기(李德基)의 따님 숙부인(淑夫人) 월성이씨(月城李氏) 사이에서 헌종 7년(1841년) 태어났다.
부호군(副護軍)을 지냈다. 광무 2년(1898년) 졸(卒)하였다.

 

3. 고령(高靈) 입향(入鄕)

부호군(副護軍)을 지낸 정택로(鄭宅魯)가 대구 종로에서 고종 31년(1894년) 갑오경장(甲午更張) 이후에 가족을 솔권(率眷)하여 고령으로 입향하였다.

 

4. 입향조 이후 역대 주요 인물

 

(1) 조선
① 정극원(鄭極源)
자는 자옥(子玉)이다. 부호군(副護軍) 정택로(鄭宅魯)와 최재악(崔齋岳)의 따님 월성최씨(月城崔氏) 사이에서 철종 12년(1861년) 태어났다. 내부주사(內部主事)와 고령향교 전교(典校)를 지냈다. 1941년 졸(卒)하였다.
② 정운한(鄭雲漢)
자는 경탁(景卓), 호는 소송거사(小松居士)이다. 내부주사(內部主事) 정극원(鄭極源)과 윤응환(尹應煥)의 따님 파평윤씨(坡平尹氏) 사이에서 고종 21년(1884년) 태어났다. 1920년 경신년 대홍수 및 1936년 병자년 대홍수를 겪으면서 해마다 비가 오면 홍수로 농경지가 매몰되고 농작물 등 수해가 많음을 예방하기 위하여 다섯 개 마을주민을 위해 마을을 흐르는 하천 양쪽에 제방을 쌓아 주었다. 몽리민들이 고마움을 기리어 외리 2에 “정공운한혜적비(鄭公雲漢惠績碑)”를 건립하였다. 1961년 졸(卒)하였다. 그는 자산가이면서 노블레스 오블리주(프랑스어 : noblesse oblige)를 실천했던 분이다.

(註釋)노블레스 오블리주
 프랑스어로 "귀족은 의무를 갖는다"를 의미한다. 보통 부와 권력, 명성은 사회에 보통 부와 권력, 명성은 사회에 대한 책임과 함께 해야 한다는 의미로 쓰인다. 즉, 노블레스 오블리주는 사회지도층에게 사회에 대한 책임이나 국민의 의무를 모범적으로 실천하는 높은 도덕성을 요구하는 단어이다. 하지만 이 말은 사회지도층들이 국민의 의무를 실천하지 않는 문제를 비판하는 부정적인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2) 근·현대
① 정남택(鄭南澤) : 대한청년단 고령군단장, 자유당 군당위원장, 제4대 국회의원, 제2대 고령수리조합 조합장
② 정희택(鄭喜澤) : 중앙수사국장, 감사원장, 제11대 국회의원, 방송위원회 위원장, 언론중재위원회 위원장
③ 정춘택(鄭春澤) : 고령양조장 경영. 대한노인회 고령군지회 지회장
④ 정종택(鄭琮澤) : 대한석탄공사 총무부장, 수석검사역, 이사
⑤ 정길택(鄭吉澤) : 초등학교 교장
⑥ 정은택(鄭恩澤) : LG그룹 사장
⑦ 정성택(鄭成澤) : 대한방직 사장
⑧ 정태두(鄭泰斗) :`경북대 교수, 의학박사
⑨ 정희용(鄭熙溶) : 제21대 국민의힘 국회의원(고령, 성주, 칠곡)
⑩ 정일용(鄭一溶) : 국립중앙의료원 외과전문의, 아산병원 외과전문의

 

자료제공 : 후손 정태호(鄭泰昊)
집필 : 향토사학자 이동훈(李東勳)
정리 : 편집국장 최종동(崔鍾東)

구독 후원 하기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