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마을(쌍림면) 곳곳에 숨어있는 재미있는 지명은?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획/특집

우리마을(쌍림면) 곳곳에 숨어있는 재미있는 지명은?

우리들의 선조들은 조상의 핏줄을 밝히고 보존하기 위해 족보를 만들고, 후손들은 족보에 대한 애착을 가지고 그것을 이어가고 있다. 그와 마찬가지로 자기가 살고 있는 고장의 구석구석 내력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고령군 8개 읍·면 각 마을의 재미있는 지명 유래 중 이번호는 쌍림면을 마지막으로 소개한다. 〈편집자 주〉

■ 합가리(合伽里)

 

합가1리.JPG

합가1리 전경

 

IMG_5266.JPG

합가2리 전경

 

⑴ 연혁(沿革)
본래 고령군 하동면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가동, 하가동을 병합해 합가동이라 하고 쌍동면에 편입됐다. 1930년 쌍동면과 임천면이 병합됨에 따라 쌍림면에 편입되고 1988년 5월 1일 동이 리로 바뀌어 오늘에 이른다.
⑵ 지명 유래(地名 由來)
* 웃개애실, 상가곡(上佳谷), 안개애실(內佳谷), 상가(上呵) : 조선 중엽 김송암(金松岩)이라는 선비가 이 마을을 개척했다. 개애실(개애곡) 위쪽에 있는 마을이라 해서 웃개애실, 상가곡(上佳谷), 또는 상가(上呵)라 했다. 개애실 안쪽에 위치한 마을이라 해서 안개애실(內佳谷)이라고도 한다. 경상남도 합천으로 넘어가는 지릿재 바로 아래 있는 마을이다.
* 아릇개실, 하가(下伽), 가곡(佳谷), 하가곡(下佳谷) : 무오사화 때 화를 입은 점필재 김종직(金宗直)의 5대손이 1650년경 이 마을로 피신해 은거할 때 꽃이 피고 골이 아름다워 아름다울 가(佳) 골곡(谷)을 써서 가곡(佳谷)이라 했다. 또 꽃이 피는 아름다운 골이라 하며 개화실(開花室)이라 했는데, 음이 변해서 개애실이 되고 개애실 마을 중 아랫마을이라 해서 아릇개실(下伽) 또는 하기곡(下伽谷)이라 한다. 합가리가 주 마을이며 일선김씨들의 집성촌이다.
* 註 : 또 다른 일설에는 가야곡(伽倻谷)이라고도 하는데 옛 대가야국의 이름을 따서 붙여진 지명으로 가야산(伽倻山)을 중심으로 가야라는 마을 지명이 많다. 이곳도 가야곡이라 했는데, 그 음이 변해서 가야실, 개애실이 되고 상가 하가를 합해 합가가 됐다고 한다.
* 용마골, 용당골(龍塘谷) : 마을 뒷산이 용이 솟아 등천했다고 해서 용당골이라 했다. 지금도 용이 등천한 자리에는 커다란 구덩이에 물이 고여 있다. 국도변에서 남쪽 골짝마을이다.
* 도르뱅이 : 아릇개실과 웃개실 중간 국도변 돌아가는 길에 몇채의 주막과 농가가 있었는데, 모두 이전해 지금은 없다. 지형이 돌아 들어간다고 해서 도르뱅이라 했다.
⑶ 기타
* 가곡(佳谷) : 개애실, 가야곡(伽倻谷), 가야실(伽倻室) 모두 합가의 다른 이름이다.
* 갈미봉 : 웃개애실에 있는 산으로 산모양이 갈모처럼 생겨 붙여진 이름이다.
* 갓골 : 금동골 가의 골짜기다.
* 개앙골 : 달밋골 옆의 골짜기다.
* 개재골 : 개앙골 위의 골짜기다.
* 구롱들 : 도르뱅이 앞에 있는 골짜기다.
* 금동골 : 아랫개실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다.
* 노동재(魯東齋) : 1889년 일선인 김춘수(金春秀)가 그의 조부인 제파(霽坡) 정현(正鉉)을 위해 세운 재실이다.
* 느른골 : 새밋골 옆의 골짜기다.
* 달밋골 : 지릿골 위쪽의 골짜기다.
* 대박골 : 아릇개실 서쪽의 들이다.
* 도연재(道淵齋) : 조선초기 영남학파의 사종(師宗)인 김종직 선생의 높은 유업을 기리기 위해 향도유림(鄕道儒林)이 수계(修契)해서 재실을 건립하고 도연재(道淵齋)라 이름했다.
* 문충공사당(文忠公祠堂) : 합가리 84번지에 위치한 선산인 점필재 김종직(1431-1492) 선생이 경남 밀양에서 출생해서 성종조에 벼슬이 형조판서에 이르렀다. 선생은 포은 정몽주, 야은 길재의 학파를 이어받은 영남학파의 종조로서 기성세력인 훈구파와 대립해서 신진 사림을 과감하게 등용했다. 그의 제자는 한훤당 김굉필(金宏弼), 일두 정여창(鄭汝昌) 등이 있으며, 500년 전 낙동강 치수사업을 창안해 수산회계라고 하는 민간계를 조직해 오늘날의 김해평야를 이룩했다.
선생은 27세 때 지은 조의제문에 그의 정적인 훈구파의 유자광, 이극돈 등이 주동이 돼 선생의 제자인 김일순의 어필사초를 수정해 달라고 티를 잡아 1498(무오년)년에 피비린내 나는 무오사화가 일어나게 됐다. 이때 그는 이미 6년 전에 세상을 떠났으나 부관참시까지 당해 1507년 중종 2년에 신원되고, 이 사당은 그의 5대손인 수휘(受徽)가 1651년 효종 2년에 이곳으로 이주해 정착하면서 신축한 건물로 추측된다. 문충공 점필재 선생과 그의 부인 정경부인 하산조씨(夏山曺氏)와 남편문씨(南平文氏) 세분이 입향돼 있다. 1651년에 세웠다.
* 미네미들 : 아릇개실 아래 있는 들이다.
* 배자들 : 대박골 위의 들이다.
* 범동산 : 개재골 위의 산으로 호랑이가 살았다고 붙여진 이름이다.
* 상가야지(上伽倻池) : 웃개실못
* 새밋골 : 갓골 옆의 골짜기로 샘이 있었다.
* 안산들 : 아릇개실 앞산 밑의 들 이름이다.
* 웃개실못 : 상가야지, 상가곡지라고도 한다, 1943년에 조성했다.
* 용강재(龍崗齋) : 합가리 용담골에 있는 일선김씨 승현(升鉉)이 그의 부모를 위해 1915년 세웠다.
* 은송재(隱松齋) : 경주이씨 이영우(李英雨) 호 은송(隱松), 자 문칙(文則)을 위해 지은 재실이다.
* 재자고개 : 합가1리에서 쌍림 매촌으로 넘어가는 재다.
* 지릿재 : 장현(長峴)이라고도 한다. 고령 지방에서 합천, 진주방면으로 넘어가는 긴 국도고개로 지루하도록 길고 험한 고개라 지릿재, 장현이라고 한다. 지금은 포장이 잘돼 있다. 웃도르뱅이에서 시작되는 고개이다.
* 진등재 : 장등현이라고도 한다. 지릿재 중간 지점에서 동쪽으로 긴 등성이 진등재로 합가리에서 경남 합천으로 넘어가는 고개다.
* 큰골 : 느른골 옆의 큰 골짜기다.
* 한밭들 : 아래개실 앞의 큰 들이다.
* 한절골(대사동=大寺洞) : 아래개실 서쪽 골짜기 마을로 옛날 이곳에 큰절이 있었지만 없어졌다.
* 한줏골마을 : 아래개실 서쪽 마을로 현재는 없어졌다.
* 화산재(花山齋) : 일선인 지평(持平) 김시사(金是泗)로부터 다섯 분의 효행을 추모하기 위해 후손들이 세웠다. 끝
고령문화원 발행 고령문화 제7집 ‘高靈地方의 마을史’에서 발췌

구독 후원 하기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