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마을(쌍림면) 곳곳에 숨어있는 재미있는 지명은?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획/특집

우리마을(쌍림면) 곳곳에 숨어있는 재미있는 지명은?

우리들의 선조들은 조상의 핏줄을 밝히고 보존하기 위해 족보를 만들고, 후손들은 족보에 대한 애착을 가지고 그것을 이어가고 있다. 그와 마찬가지로 자기가 살고 있는 고장의 구석구석 내력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고령군 8개 읍·면 각 마을의 재미있는 지명 유래 중 이번호는 쌍림면을 세 번째로 소개한다. 〈편집자 주〉

메인-산주리 수령500년 보호수 은행나무.JPG

산주리 수령500년 보호수 은행나무

 

 

▣ 산당리(山塘里)

 

산당리마을전경.JPG


⑴ 연혁(沿革)
본래 고령군 하동면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초곡동을 병합해 산당동이라 하고 편입됐다. 1930년 쌍동면과 임천면이 병합됨에 따라 쌍림면에 편입되고, 1988년 5월 1일 동이 리로 바뀌어 오늘에 이른다.
⑵ 지명 유래(地名 由來)
* 산댕이, 산당(山塘) : 마을이 번창하려면 연못이 있어야 하지만, 다행히도 이 마을에는 맑고 깨끗한 물이 항시 흐르고 있어 연못이 필요가 없었다. 마을 이름을 뫼(山) 못 당(塘)을 써 산당이라 하며 또 산제당(山祭堂)이 있었으므로 신당, 산댕이, 산당이라고도 한다.
⑶ 기타
* 골안골 : 정개울 위에 있는 골짜기다.
* 광대지들 : 산댕이 동북쪽에 있는 들이다.
* 들돌배기골 : 산댕이 북쪽에 있는 골짜기다.
* 띠기산 : 산댕이 북쪽에 높이 284m의 산이다.
* 띠기산광산 : 디기산 광산이라고도 하는 금광이다. 행정구역은 경남 합천군 야로면이나 생활권은 고령이다.
* 바래미들 : 산댕이 동쪽에 있는 들이다.
* 살터 : 산댕이 북쪽에 있는 마을
* 상부동 : 상동, 상두동이라고도 한다. 초곡동 서남쪽에 있는 마을이다.
* 새실 : 초곡, 초곡동이라고도 한다. 산댕이 북쪽 마을로 골이 깊고 응달이 져서 새초(우마초)가 많아 초곡, 초곡동, 새실이라 부른다.
* 상청계 : 웃청계라고도 한다. 행정구역은 경남 합천군 야로면에 속하나 옛날엔 산당에 속했다. 청계 위의 마을이다.
* 은행나무 : 산댕이 복판이 있는 은행나무로 1968년 벼락을 맞아 부려졌다.
* 청개울 : 추운골 북쪽에 있는 골짜기다.
* 추운골 : 들돌베기 동쪽에 있는 골짜기로 골이 좁고 깊어 햇빛이 잘 들지 않아 기온이 낮아 붙여진 이름이다.
* 읍선대(揖仙臺) : 산댕이 동남쪽에 있다. 높은 바위 벼랑을 이루고 그 바로 밑으로 안림천이 맑고 깨끗한 물이 흘러 경치가 매우 아름다운 곳이다. 신라말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 선생이 가야산 해인사에 들어갈 때 이곳에서 머물며 놀았다고 한다. (註 : 읍선대도 정확한 위치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 산주리(山州里)

 

산당리마을전경.JPG


⑴ 연혁(沿革)
본래 고령군 상동 지역이다. 큰 산밑 골짜기 마을이라 해서 산골 또는 산주, 산촌이라 했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석사동, 부례동을 병합해 산주동이라 해서 쌍동면에 편입됐다. 1930년 쌍동면과 임천면이 병합됨에 따라 쌍림면에 편입되고 1988년 5월 1일 동이 리로 바뀌어 오늘에 이른다.
⑵ 지명 유래(地名 由來)
* 산골, 산곡(山谷), 산주(山州) : 큰산 곧 만대산 밑 골짜기에 있는 마을이라 해서 산골 또는 산곡이라 했다. 고령군 내 많은 마을이 동, 리로 돼 있는데 산주만은 동, 리가 아니고 고을주(州) 자로 쓴 것이다.
옛날 적화현이 지금의 야로면 중심으로 돼 있었는데, 이때 신라, 백제의 전쟁으로 잠시 이곳 산주로 적화현이 옮겨져 산주가 된 것 같다.
* 객기마, 아랫마, 객기(客基), 하동(下洞) : 옛날 난리를 피하기 위해 객지에서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어 객기마을, 객기마가 되고, 산주보다 아래 위치한 마을이라 해서 아랫마을, 아랫마가 돼 한문 표기로 하동(下洞)이라 했다.
* 부례(扶禮) : 돌저리(돌절, 石寺) 동남쪽에 위치한 마을이다. 옛날 이곳에서 보기 드문 열녀(烈女)가 났다고 한다. 그래서 예의가 돋보여 모든 사람들의 모범이 된다고 해서 도울부(扶), 예도 례(禮)를 써서 부례라 한다.
⑶ 기타
* 객깃들 : 객기평이라고도 한다. 객기마 앞에 있는 들이다.
* 걸밋재 : 산골 서쪽에 있는 고개로 내(川) 밑에 있는 재라는 뜻이다.
* 규월사(奎月寺) : 산골 위쪽에 위치한 절이다. 지금은 없어지고 보상사를 새로 세웠다.
* 당산(堂山) : 산골 중앙에 있는 산으로 서낭당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 대밭들 : 죽전평이라고도 한다. 토낏들 동쪽에 있는 들로 대나무 밭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 덤발리들 : 산골 위쪽 덤만당의 들이다. 벼락방구 더미가 있다.
* 돌저리 : 돌절, 석사라고도 부른다. 옛날 이곳 절에 석불이 있어 돌절이 돌저리가 되고 한문 표기로 석사(石寺)가 됐다. 지금은 해인사로 가는 국도변인데 절은 없어지고 인가는 바로 옆 경남 합천군 야로면 구역으로 이주했다.
* 만대산성(萬台山城) : 표구 510m의 높은 산에 동북 북동쪽의 자연절벽을 이용한 것으로 원래의 만대산성은 현 합천군 가야면에 있었다고 한다. 이곳은 주성을 간성(干城)이라 전하고 조선시대에는 주민들의 피난처였다고 한다. 현재는 거의 흔적이 없다.
* 만대산 신씨묘(萬代山申氏墓) : 고령신씨 시조 고려 검교군기감(檢校軍器監) 신성용(申成用)의 묘로 만대영화지(萬代榮華地)라 한다.
* 매화현 : 매쟁이재로 옛 구월사 남서쪽에 있는 고개로 산주에서 경남 합천군으로 넘어가는 고개다.
* 미륵말리들 : 산골 북쪽에 있는 들로 버드나무 정자가 있었다.
* 방갓 : 산골 동쪽에 있는 산이다.
* 버드나무징이들 : 산골 남쪽에 있는 들로 버드나무가 있었다.
* 베락방구 : 산골 앞에 있는 바위로 큰 바위가 여러 갈래로 갈라져 있는데 벼락을 맞아 벼락바위, 베락방구가 됐다.
* 불당골 : 산골 서남쪽 골짜기에 있는 마을로 불당이 있었다.
* 상봉(上峯) : 산골 서쪽에 있는 산이다.
* 여시미기골 : 산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로 여시(여우)가 넘어 다니는 길목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 절너미골 : 절너메골로도 불린다. 만대산 신씨 묘에 있는 골짜기 규월사 넘어 있는 골짜기라 붙여진 이름이다.
* 탕건바우 : 산골 서쪽에 있는 바위로 모양이 탕건처럼 생겨 붙여진 이름이다.
* 토끼들 : 토평이라고도 한다. 산토끼가 많이 내려와 곡식을 해쳐 붙여진 이름인데 산골 동쪽에 있는 들이다.

 

▣ 송림리(松林里)

 

송림1리 마을전경.JPG


⑴ 연혁(沿革)
본래 고령군 하동면 지역이다. 소나무가 울창해서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송림동이라 해서 편입됐다. 1930년 쌍동면과 임천면이 병합돼 쌍림면에 편입되고 1988년 5월1일 동이 리로 바뀌어 오늘에 이른다.
⑵ 지명 유래(地名 由來)
* 송림골, 송림(松林) : 조선 중기 강건너 매촌동에서 살던 오선기(吳善基)라는 선비가 경신년 대홍수로 살고 있던 마을이 떠내려가자 이곳으로 이주하니 소나무 숲이 우거져 마을 이름을 송림(松林)이라 했다.
* 매림(梅林), 서원마, 서원(書院) : 매촌동에 살던 오선기 선비가 이곳 소나무골 송림숲에 산다고 해서 매림이라 했다. 숙종 33년 1707년 매림서원을 세웠는데, 서원이 있는 마을이라 서원마을, 서원이라 했다. 또 다른 매림이라는 유래는 매헌(梅軒) 곽수강(郭壽岡) 선비의 호의 첫 글자를 따서 매림이라고도 한다.
⑶ 기타
* 가마골(釜谷) : 방아실 뒤에 있는 골짜기로 옹기를 만들었던 곳이다.
* 경산재(敬山齋) : 1935년 창건. 경주인 김종수의 장남으로 1884년 태어난 송강 김성하(松岡 金聲夏) 선생을 위해 제자들이 그의 업적을 기리고 선생의 숭고한 정신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했다.
* 골안 : 고란곡(高蘭谷)이라고도 부른다. 송림 뒤의 골짜기다.
* 공갯들 : 송림뒤의 들이다.
* 광대정들 : 송림앞에 있는 들이다.
* 매림서원 : 서원마에 있는 서원으로 조선 숙종 33년 1707년에 창건해 매헌 곽수강, 실계(室溪) 오선기(吳善基)를 배향했다. 고종 5년(1868년)에 헐리고 매림사(梅林祠)만 있었다. 근래 후손들(곽씨·오씨)이 새로 복원했다.
* 매림재 : 매림서원 옆에 있는 재로 현풍곽씨와 고창오씨 두 집에서 매림서원을 위해 세웠다.
* 방아실 : 용곡이라고도 한다. 서원마 뒤에 있는 골짜기로 물레방아가 있었다.
* 서원들 : 서원마 앞에 있는 들이다.
* 송림들 : 송림앞의 큰 들이다.
* 송림뚝 : 송림제방이다. 안림천가에 있는 뚝으로 1937년에 쌓았다.
* 송림못 : 송림 뒤에 있는 못이다.
* 송림재 : 송림현이라고도 한다. 송림에서 월막으로 넘어가는 고개다.
* 오정골 : 가마골 뒤에 있는 골짜기다.
* 옥계정(玉溪亭) : 송림 옆에 있는 정자로 경주 김진을 위해 세운 건물이다. 곽종석 찬명과 이이건(李以鍵)의 찬기문이 있다.
* 자라바우(별암) : 옛날 박씨성을 가진 부자가 살았는데, 집 앞에 있는 큰 바위에 자라의 모습을 조각해 말을 타고 내리던 下馬石(노둣돌)으로 이용해 붙여진 이름이다. 지금도 이 바위가 동사무소 앞뜰에 있다.
* 죽유 오선생 사당(竹牖吳先生祠堂) : 서원마 복판에 있는 죽유(竹牖) 오운(吳澐)의 사당이다.
죽유(竹牖) 오운(吳澐 : 1540~1617)은 조선 중기의 문신(文臣)으로 학자와 문인이면서 의병활동에 참여해 훈공을 세웠다. 또 서예가로서 일가를 이뤘다.
그는 경남 함안(咸安)에서 태어나 의령(宜寧)으로 의거했고, 만년에는 경북 영주(榮州)로 이주해 살았다. 19세(1558년) 때 남명(南冥) 조식(曺植)을 찾아뵙고 그 제자가 됐다. 그 뒤 25세 때 도산서당(陶山書堂)으로 퇴계(退溪) 이황(李滉)을 찾아뵙고 제자가 됐는데, 퇴계로부터 인재로 인정받았다.
그의 거주지는 강우지역인 함안, 의령에서 강좌지역인 영주로 이주했고, 사승연원(師承淵源)도 남명, 퇴계 두 문하를 다 거쳤고, 그의 지방수령으로서의 임지(任地)도 강우지역인 합천(陜川·경주(慶州)·상주(尙州)에 걸쳐 있어 명실상부한 강좌와 강우지역을 아우른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그의 특성이 임진왜란 의병활동에서 역할을 했으며, 퇴계학파(退溪學派)와 남명학파(南冥學派)의 융합에 일정부문 기여했다.

 

 

고령문화원 발행 고령문화 제7집 ‘高靈地方의 마을史’에서 발췌

구독 후원 하기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