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마을(우곡면) 곳곳에 숨어있는 재미있는 지명은?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획/특집

우리마을(우곡면) 곳곳에 숨어있는 재미있는 지명은?

우리들의 선조들은 조상의 핏줄을 밝히고 보존하기 위해 족보를 만들고, 후손들은 족보에 대한 애착을 가지고 그것을 이어가고 있다. 그와 마찬가지로 자기가 살고 있는 고장의 구석구석 내력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고령군 8개 읍·면 각 마을의 재미있는 지명 유래 중 이번호는 세 번째로 우곡면을 소개한다. 〈편집자 주〉

▣ 속리(速里)

속리마을전경.JPG


⑴ 연혁(沿革)
본래 고령군 우촌면 지역으로 긴 골짜기의 속이 되므로 솝골, 속골, 또는 속읍리, 우촌이라 했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속동이라 해서 우곡면에 편입되고 이조 때 이 마을의 이름을 따서 우촌면이 돼 속읍리, 야옹정리, 기성리, 사촌리를 관할하다가 1914년 폐지되고 1988년 5월 1일 동이 리로 바뀌어 오늘에 이른다.
⑵ 지명 유래(地名 由來)
* 솝골, 속골, 속읍리(屬邑里), 우촌(牛村), 속곡(涑谷) : 아주 깊숙한 골짜기이므로 솝골, 속곡, 속골, 속읍리라 했다. 또 옛날 성지도사(聖旨道士)가 이곳을 세 번이나 지나갔는데 골짜기의 흐르는 물에 손을 씻으며 바라본 산수풍경의 아름다움에 감복해 속수산청(涑水山淸)이라는 글을 짓고 삼청동(三淸洞)이라는 글을 손가락으로 바위에 새겨 놓고 떠났는데 후세 사람들이 속수(涑修)라는 ‘涑’자와 골짜기라는 ‘谷’자를 따서 석곡, 속골, 솝골이라 불렀다.
* 신당골, 신당곡(新塘谷) : 속골 아래 위치한 마을로 속골에서 으뜸이 되는 마을로서 성지도사(聖旨道士)가 여름에 이곳을 지나다 보니 큰 못이 있어 세수를 했다. 물이 너무 맑고 차서 새로운 정신이 드는지라 신기하게 여겨 새로운 못이라 해서 신당(新塘)이라 하고 떠났는데 그 후 이곳 사람들은 못 이름을 따서 신당골, 신당곡이라 마을 이름을 불렀다.
⑶ 기타
* 가재골 : 속골 서남쪽에 있는 골짜기로 가재가 많아 붙여진 이름이다.
* 개상골 : 속동 서쪽에 있는 골짜기다.
* 구렁들 : 속골 동남쪽에 있는 들로 구렁이 져서 붙여진 이름이다.
* 덤골 : 성짓골 다음에 있는 골짜기로 절벽이 있다.
* 물구덩산 : 신당골 서쪽에 있는 산이다.
* 백세당(白世堂) : 1910년 창건, 경주인 최언준(崔彦峻)이 문중의 번영을 위해 건립한 종실이다.
* 삼청재(三淸齋) : 1904년 창건, 고려 때 병조참의를 지낸 고령인 박경(朴景)이 낙향 후 후배양성에 힘쓴 그의 행적을 기리기 위해 후손들이 건립했다.
* 새땀 : 신당골 앞에 새로 생긴 마을
* 성짓골 : 물구동산 밑에 있는 골짜기로 성지도사가 놀았다고 한다.
* 속골못 : 속골에 있는 못으로 1943년에 조성했다.
* 속골쑤(속골숲, 속동수) : 조산 옆에 있는 숲으로 대추나무, 버드나무 등 잡목이 우거져 있다.
* 속읍리 : 속동
* 안산 : 신당골 앞에 있는 산이다.
* 웃골 : 속동 서북쪽에 있는 골짜기다.
* 으능나무(은행나무) : 속동 중앙에 있는 은행나무로 둘레가 약 4m, 높이 25m 가량 된다.
* 조산(造山) : 삼청동 옆에 있는 조그마한 산으로 속골 마을을 위해 인공으로 산을 만들었다.
* 박골 : 속골 동북쪽에 있는 골짜기로 피밭이 많다.
 
■ 야정리(野亭里)
 

속리마을전경.JPG


⑴ 연혁(沿革)
본래 고령군 우촌면 지역으로 야옹정이 있었으므로 양옹정이라 했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야곡동을 병합해 야정동이라 해서 우곡면에 편입되고 1988년 5월 1일 동이 리로 바뀌어 오늘에 이른다.
⑵ 지명 유래(地名 由來)
* 양오정, 양우정, 야옹정(野翁亭) : 옛날 이 마을 뒷산 준치골에 살던 사람들이 도적떼를 피해 아래 들판에 있는 야옹정 가까이에 모여 살게 됐다. 인조 때 삼학사(三學士)의 한 사람인 화포(花浦) 홍익한(洪翼漢)이 고령 현감이 돼 야옹정을 짓고 뒤에 현감 오명흠(吳命欽)이 글을 지어 찬양했지만 없어졌다. 정자의 이름을 따서 들의 노이정이라 하고 양오정, 양우정, 야옹정이라 한다.
* 아칠, 웃아치실(上鵝致室), 아곡(鵝谷) : 마을 뒷산의 형세가 기러기 모양으로 생겼으며 또 마을 뒤 대나무 숲에는 기러기가 떼를 이뤄 서식해 기러기 모양의 마을이라 해서 아칠, 아곡 위에 있는 아치실이라 웃-아치실이라 한다.
* 아래곡, 왜수, 아래곡(阿來谷) : 아치실 남쪽에 있는 마을로 앞과 뒤에 있는 산 모양이 기러기가 날아오다 양쪽 날개를 오므리며 앉으려는 모양으로 보이고 마을 앞 늪가에는 많은 기러기가 날아와서 서식해 아래곡, 아래골, 왜수라 부른다.
⑶ 기타
* 범산(호산) : 아릿골 뒷산인데 범같이 생겼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 승유재(承裕齋) : 1902년 창건, 영조 때 병조참판을 지낸 석봉 홍준영(남양인)을 위한 재실로 경내에 사적비가 있고, 당사 교지를 증손이 보존하고 있다.
* 아릿골-뒷산 : 아릿골 뒤에 있는 산으로 기슭에 옛 회천 국교가 있었다.
* 야정들 : 야옹정 앞에 있는 들이다.
* 야정-뒷산 : 야정 뒤에 있는 산
* 야정평 : 야정들
* 왜-수 : 아릿골 위쪽에 있는 마을이다.
* 장죽-보 : 양웅들에 있는 보
* 정자나무 : 야옹정 앞에 있는 느티나무로 세 그루가 있고, 둘레가 약 4m, 높이는 약 30m가 되는데 인조 때 고령현감 홍익한이 심었다고 한다.
 
■ 연리(蓮里)
 

연리마을전경.JPG


⑴ 연혁(沿革)
본래 고령군 하동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빙등리, 하산동을 병합해 연동이라 해서 우곡면에 편입됐다. 1988년 5월 1일 동이 리로 바뀌어 오늘에 이른다.
⑵ 지명 유래(地名 由來)
* 민등, 빈등이, 빙등(氷嶝), 빙등리(氷嶝里), 연화동(蓮花洞), 연동(蓮洞) : 이곳 마을 뒷산이 얼음등 같이 생겨 빙등산이라 하고 산밑의 마을이라 빙등, 빈등이 등으로 불렀다. 또 이 마을 앞을 흐르는 모듬냇가의 늪에는 연꽃이 만발할 때면 그 아름다움을 말로 표현할 수가 없을 정도로 아름다워 연화동(蓮花洞)이라 부르다 다사 화자를 줄여 연동으로 하고 동이 리로 바뀌어 오늘에 이른다.
* 해미, 하미(下彌), 화산(花山) : 하미리라고도 한다. 빈등 남쪽에 위치한 마을로 이조 때 하미면이 돼 도진, 하라배, 하미, 사부 4개리를 관할했다. 1914년 군·면 폐합 시 폐지되고 그 때의 이름을 따서 하미, 해미로 부르고 하미면사무소도 이곳에 있다.
⑶ 기타
* 개장지 : 빈등 서쪽에 있는 들로지형이 개의 생식기처럼 생겨 부른 이름
* 고렛골 : 빈등 남쪽에 있는 골짜기다.
* 구미등(龜尾嶝) : 빈등 남쪽 모듬냇가에 있는 등성이로 거북꼬리처럼 생겨서 부른 이름이다.
* 당산(堂山) : 빈등 북쪽에 있는 산으로 산제당이 있다.
* 딧등산 : 빈등 뒤에 있는 산이다.
* 말무듬 : 빈등 복쪽 길가에 있는 큰 무덤으로 선조 때 두사청(杜師聽)의 말이 죽어 이곳에 묻었다고 한다.
* 무나물 : 빈등 남쪽에 있는 들이다.
* 안산 : 빈등 앞에 있는 산
* 연동들(연동평) : 빈등 앞에 있는 들
* 정성골 : 빈등 서쪽에 있는 골짜기
* 정승잇들 : 빈등 서남쪽에 있는 들이다.
* 정자나무 : 빈등 남쪽에 있는 회화나무(홰나무) 둘레가 세 아름 가량 된다.
* 해미고개(하미현) : 하미에서 답곡리로 넘어가는 고개다.
* 해밋골 : 하미 뒤에 있는 골짜기다.
<다음호에 계속>
고령문화원 발행 고령문화 제7집 ‘高靈地方의 마을史’에서 발췌

구독 후원 하기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