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안차씨(延安車氏) 강렬공파(剛烈公派)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획/특집

연안차씨(延安車氏) 강렬공파(剛烈公派)

본지는 ‘고령지역 세거성씨(世居姓氏) 연원(淵源)을 찾아서’를 격주로 기획 연재한다. 씨족연원(氏族淵源), 현조(顯祖), 고령입향(高靈入鄕) 내력 및 시기, 입향조(入鄕祖) 이 후 역대 인물 등을 문헌적 고증(考證)을 근거로 밝힘으로써 각 문중 고유의 씨족연원(氏族淵源), 열조(烈祖)들의 위업(偉業), 올곧은 정신 및 문화유산(文化遺産)을 이해하는 계기를 마련코자 하오니 관심 있는 문중들의 많은 참여를 바라며, 이번호에는 연안차씨(延安車氏) 강렬공파(剛烈公派)를 소개한다.

봉오재 (성산면 오곡1길 45).jpg

봉오재 (성산면 오곡1길 45)

 

 

1. 씨족연원(氏族淵源)

(1) 시조(始祖)
황제(黃帝)의 후손인 사신갑(姒辛甲)은 고조선 때 평양 일토산(一土山) 아래에 살면서 성을 왕씨(王氏)로 하고 이름은 조명(祖明)이라 하였다. 고조선 말 그의 후손 왕몽(王夢)이 기자조선 준왕(準王)의 모함을 받아 7남 림(琳)과 함께 지리산으로 들어가 숨어서 살게 되었다. 이 때 몽(蒙)은 자손 번창을 이유로 왕씨 성자(王氏 姓字)를 세 번 바꾸어 차자(車字)로 고쳐 성을 차씨(車氏)로 하고, 이름은 무일(無一)이라 하였다. 공은 신라를 세울 때 차무일(車無一)께서 공훈(功勳)으로 시중(侍中) 벼슬에 오르고, 왕으로부터 차씨(車氏) 성(·)을 받게 되어 차씨 득성시조(得姓始祖)가 되었다.《연안차씨세보》에 따르면 상고세계(上古世系)를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차건갑(車建甲)은 신라 소성왕(昭聖王) 때의 승상(丞相)으로, 왕이 임종할 때 태자(哀莊王)에게 전위(傳位)하기가 불안하여 그에게 후사를 부탁하였다. 차건갑(車建甲)의 아들 차승색(車承穡)은 아버지를 이어 애장왕 밑에서 승상(丞相)으로 보필하였는데, 애장왕의 서숙(庶叔) 김언승(金彦昇)이 왕과 왕자를 시해하고 헌덕왕(憲德王)에 오르자, 전왕(前王)의 원수를 갚고자 헌덕왕을 죽일 계획으로 거사하였다가 실패하고 황해도의 구월산(九月山)에 은거하였다. 그는 성을 조모의 성을 따라 양씨(楊氏)로 고치려다가 ‘변양위류(變楊爲柳)’ 하여 유씨(柳氏)로 고치고 이름도 색(穡) 외자로 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고려 태조 남정(南征) 시 류씨(柳氏) 6세인 해(海)께서 수레를 많이 내어서 군량의 길이 통하였으므로 류차달(柳車達)이라고 사명(賜名)하였고 삼한(三韓)을 통합하자 익찬벽상2등공신(翊贊壁上二等功臣)으로 대승(大丞)이 되었다. 수공(首功)을 세운 장남 차효전(車孝全)에게는 개국정사1등공신(開國定社一等功臣)에 책록하고 대광(大匡) 벼슬을 제수받았다. 시조(始祖) 차효전(車孝全)은 자(字)가 양운(良運)이고 호(號)가 강촌(江村), 시호(諡號)가 무열공(武烈公)이다. 고려 창업에 공을 세워 개국정사1등공신(開國定社一等功臣)에 책록하고 태조에 의해 대광백(大匡伯)·연안군(延安君)에 봉해졌다.
(2) 충신(忠臣) 차원부(車原頫)와 삼세오문장(三世五文章)을 배출한 명문가
⓵ 고려 말 성리학(性理學)의 대가(大家)이며 고려조 간의대부(諫議大夫)를 지낸 차원부(車原頫)께서 조선개국(朝鮮開國)에 참여하지 않고 고려의 유신(遺臣)으로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절개(節槪)를 지켰던 두문동(杜門洞) 칠십이현(七十二賢) 중의 한 분이다.
⓶ 차광운(車廣運), 차식(車軾), 차은로(車殷輅), 차천로(車天輅) 차운로(車雲輅) 등 삼세(三世)에 걸쳐 오문장(五文章)을 배출하였으나 특히 서경덕(徐敬德)의 문인이었던 오산(五山) 차천로(車天輅)가 특히, 한시에 뛰어나 한호(韓濩)의 글씨, 최립(崔岦)의 문장과 함께 ‘송도삼절(松都三絶)’이라 일컬어졌다.
 (3) 류씨(柳氏)와 차씨(車氏)와의 관계
⓵ 류씨(柳氏)와 차씨(車氏)가 동조동본(同祖同本)이라고 주장하지만 차원부설원기(車原頫雪冤記)에서 비롯된 문제이다.
⓶ 연안차씨(延安車氏)에서는 차원부설원기(車原頫雪冤記)의 주장을 지지하여 동조동본(同祖同本)을 지지하고 있지만 문화류씨(文化柳氏)에서는 2008년 대종회에서 류씨(柳氏)와 차씨(車氏)는 관계없음을 천명하였다.
(4) 분파(分派)
⓵ 크게 문학공파(文學公派), 전서공파(典書公派), 월파공파(月波公派), 상장군공파(上將軍公派), 송림백공파(松林伯公派) 등 5개파로 분파되었다.
⓶ 소파(小派)인 강렬공파(剛烈公派)는 대파(大派)에 속한다.
(5) 연안차씨(延安車氏) 관내 세거 현황
⓵『2000년 인구주택총조사 성씨 및 본관보고서』에 의하면 고령군 관내에 연안차씨(延安車氏)는 57가구 204명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⓶ 강렬공(剛烈公) 차운혁(車云革) 후손은 고령군 성산면 오곡리를 중심으로 개진면 옥산2리 등에 세거하고 있다.
2. 현조(顯祖)
(1) 고려시대
⓵ 차중규(車仲規)
간의대부(諫議大夫) 차유개(車幼塏)와 정승(政丞) 위계정(魏繼廷)의 따님 수령위씨(遂寜魏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고려 명종 4년(1174년) 서경유수(西京留守)조위총(趙位寵)이 난을 일으켰을 때 병마사(兵馬使) 장군(將軍)으로서 연주로 오다가 운반역(雲畔驛)에 이르러서 운주(雲州) 사람들에게 순절(殉節)하였다. 생년(生年) 미상(未詳)이다.
⓶ 차척(車倜)
우군병마사(右軍兵馬使) 차덕위(車德威)와 중찬승(中贊升)의 따님 양천허씨(陽川許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고종 3년(1216년) 거란군이 침략하거늘 승상(丞相) 차척(車倜)으로 전군병마사(前軍兵馬使)를 삼고 김취려(金就礪)로 후군병마사(後軍兵馬使)를 삼아 상장군(上將軍) 송신경(宋臣卿)으로 좌군병마사(左軍兵馬使)를 삼고 독전(督戰)케 하였다. 거란병이 창주(昌州)로부터 연주(延州)의 개평(開平)과 원림(原林)의 두 역(驛)으로 옮김에 삼군이 합세하여 적을 격퇴하여 이로부터 적에게 다시는 개평역(開平驛)에 진을 치지 못하게 하였다. 고종 17년(1230년)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 어사대부(御史大夫)에 제수되었다. 같은 해 9월 왕이 묘통사(妙通寺) 행차 도중에 어가(御駕)가 뒤집히는 사고가 발생하여 단지 견룡(牽龍) 2명만 탄핵하여 파직하였다. 생졸년(生卒年) 미상(未詳)이다.
⓷ 차송우(車松祐)
중랑장(中郎將) 차수하(車受河)와 지추밀(知樞密) 권준(權濬)의 따님 안동권씨(安東權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고종 45년(1258년) 권신(權臣) 최충헌(崔忠獻)의 손자 최의(崔竩)가 조정(朝廷)의 기강(紀綱)을 문란(紊亂)케 하므로 대사성(大司成) 유경(柳璥)과 별장(別將) 김인준(金仁俊) 등과 함께 최의를 제거하고 정권을 왕실에 회복시켰다. 원종 3년(1262년) 미륵사(彌勒寺)와 공신당(功臣堂)을 중건한 후 위사공신(衛社功臣) 추밀원사 유경(柳璥), 장군 김대재(金大材)·김용재(金用材)·김석재(金碩材)·차송우(車松祐) 등의 초상화를 그려 공신당(功臣堂)에 걸었다. 원종 9년(1268) 몽골 황제가 사신을 파견하여 군사를 징발하고, 김준(金俊) 부자와 동생 김충(金冲)에게 명하여 모두 경사(京師)로 오도록 하였다. 이에 장군(將軍) 차송우(車松祐)의 말을 듣고 몽고(蒙古) 사신(使臣)을 죽였다. 생졸년(生卒年) 미상(未詳)이다.
⓸ 차득규(車得珪)
장군(將軍) 차송우(車松祐)와 면성부원군(沔城府院君) 구예(具藝)의 따님 능성구씨(綾城具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충렬왕 7년(1281년) 왕이 교지(敎旨)를 내려 말하기를, “과인(寡人)이 일찍이 세자가 되어 원(元)의 수도(京師)에 입조하였을 때 나유(羅裕)·지윤보(池允輔)·김응문(金應文)·정인경(鄭仁卿)·차득규(車得圭)) 등이 나를 시종(侍從)한 공로가 있었다. 그 공이 사직(社稷)에 있었으니 상을 내리는 의전(儀典)을 의논하라” 하였다. 충렬왕 8년 5월에 교서(敎書)를 내려 원(元)에서 귀국하면서 파사부(婆娑府)에 이르러 변고를 듣고 조정으로 돌아올 때 과인을 시종(侍從)하며 보좌한 장군(將軍) 정오부(丁伍孚)·정인경(鄭仁卿)·차득규(車得珪) 등을 1등공신(功臣)으로 삼고 전장(田庄)과 노예를 나누어 주었다, 생졸년(生卒年) 미상(未詳)이다.
⓹ 차포온(車蒲溫)
도총제장군(都摠制將軍) 차득규(車得珪)와 권중귀(權重貴)의 따님 안동권씨(安東權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공민왕 1년(1352년)  왕이 원(元)에 있을 때 호종했던 공신들[(燕邸隨從功臣)을 녹훈(錄勳)하였다. 판사복시사(判司僕寺事) 차포온(車蒲溫), 대호군(大護軍) 정세운(鄭世雲), 중랑장(中郞將) 목인길(睦仁吉), 낭장(郞將) 김서(金湑)·전이도(全以道) 등을 1등공신으로 임명하고 토지와 노비(田民)를 하사하였으며 군부판서(軍簿判書)에 임명하였다. 공민왕 3년(1354년) 용산군(龍山君)으로 봉(封)하고 황제가 왕에게 하사하는 옷과 술을 가지고 원(元)에서 돌아왔다. 공민왕 6년(1357년) 동경유수(東京留守)가 되었다. 야사불埜思不花(埜思不花 ; 예스부카)가 강향사(降香使)로 고려에 오자 가는 곳마다 제멋대로 횡포를 부려서 정지상(鄭之祥)이 모욕을 당하고 옥에 가두었으며, 예스부카가 차고 있던 금패(金牌)를 빼앗았다. 정지상이 돌아와 왕에게 이 사실을 아뢰었는데 왕이 놀라 정지상을 순군(巡軍)에 가두었으며 차포온(車蒲溫)을 보내어 예스부카에게 술을 하사하고 위로하게 하였으며 금패를 돌려주었다.
⓺ 차원부(車原頫)
자는 사평(思平)이고 호는 운암(雲巖)이다. 월파(月波) 지방어사(知防禦使) 차종노(車宗老)의 셋째 아들로 충숙왕 7년(1320년) 태어났다. 공민왕 때 문과에 급제한 이후 간의대부(諫議大夫)에 이르렀다. 당대의 대학자인 정몽주(鄭夢周)·이색(李穡) 등과 유학자로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였다. 고려 말 정치가 문란하여지자 관직을 사퇴한 뒤 평산(平山)의 수운암동(水雲巖洞)에 은거하였다. 조선이 개국하였을 때 태조가 공신으로 책록하려 하였으나 굳이 사퇴하고, 이어 정언(正言)·판전농시사(判典農寺事) 등의 벼슬도 받아들이지 않았다. 일찍이 정도전(鄭道傳)·하륜(河崙) 등이 차씨(車氏) 외손의 서속(庶屬)이었음을 사실대로 족보에 기재하여 그들의 원한을 받아오던 중 평산으로 돌아가려고 송원(松原)에 이르렀을 때, 숙적(宿敵) 하륜 등이 보낸 자객에게 가족 및 일당 70여 인과 함께 살해되었다. 고려에 충성을 다하던 두문동(杜門洞) 72인의 한 사람이다. 세종 때 황보 인(皇甫仁)의 청원으로 신원(伸冤)되어 시중(侍中)에 추증(追贈)되고 시호는 문절(文節)이다.
⓻ 차견질(車堅質)
월파(月波) 지방어사(知防禦使) 차종노(車宗老)의 다섯째 아들이다. 찬성(贊成) 벼슬을 하였으며 셋째 형 문절공(文節公) 차원부(車原頫)와 함께 문을 닫고 정절(靖節)을 지키고 사얼지화(四孼之禍)로 회령(會寜)으로 귀양을 갔다.
(註釋) 사얼지화(四孼之禍)
연안차씨(延安車氏)의 얼속(孼屬 : 첩에서 낳은 자식)의 외척(外戚 : 외가의 친척)인 정도전(鄭道傳)·하륜(河崙)·조영규(趙英珪)·함부림(咸傅霖) 등 사얼(四孼)들의 모략으로 억울하게 추살(椎殺)되시고 차씨 문중도 멸족지화(滅族之禍)를 당하였다.


(2) 조선시대


⓵ 차운혁(車云革)
 자는 홍기(弘器)이며 호는 송암(松庵)·쌍청당(雙淸堂)이다. 찬성(贊成) 벼슬을 지낸 차견질(車堅質)과 밀직(密直) 벼슬을 지낸 김의지(金義之) 따님 청풍김씨(淸風金氏) 사이에서 태조 2년(1393년)에 태어났다. 고려 말 성리학(性理學)의 대가(大家)이었던 숙부 차원부(車原頫)가 하륜(河崙) 등에 의해 살해되자 이에 연루되어 길주, 회령 등지를 전전하며 유배 생활을 하였다. 세종 때 차원부의 억울함이 밝혀져 신원(伸冤)이 회복되자 그도 유배에서 풀려난 뒤 은거생활을 하였다. 이후 어모장군(禦侮將軍) 충좌위좌부사직(忠佐衛左副司直) 정북선봉대장(征北先鋒大將)에 임명되었다. 세조 13년(1467년)에 이시애(李施愛)의 난이 일어나자 선봉대장이 되어 적군의 남하를 막기 위해 전투를 벌이다가 사로잡혀 단천옥(端川獄) 순절(殉節)하였다. 난이 평정된 후 정충출기포의적개이등공신(精忠出氣布衣敵愾二等功臣)에 책록되고 가정대부병조참판(嘉靖大夫兵曹參判)으로 추증(追贈)되었으며 연천군(延川君)에 추봉(追封)되었다. 헌종 7년(1841년)에 강렬(剛烈)이라는 시호를 하사받았다.
⓶ 차득평(車得平)
자는 군원(君遠)이고 첨정(僉正)을 지낸 차의중(車義重)과 정부인(貞夫人) 전주최씨(全州崔氏) 사이에서 세조 7년(1462년) 태어났다. 성균관생원(成均館生員)에 입격한 후 첨정(僉正)을 지냈다. 졸년(卒年) 미상(未詳)이다.
⓷ 차윤원(車允元)
첨정(僉正) 차득평(車得平)과 의인(宜人) 밀양박씨(密陽朴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남양부사(南陽府使)를 지내고 이조판서(吏曹判書)를 증직(贈職)받았다. 생졸년(生卒年) 미상(未詳)이다.
⓸ 차세미(車世美)
통혼대부(通訓大夫)를 지낸 차승정(車承楨)과 윤세헌(尹世憲)의 따님 파평윤씨 (坡平尹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현풍현판관(玄風縣判官)을 지냈다. 생졸년(生卒年) 미상(未詳)이다.

 

3. 고령(高靈) 입향(入鄕)


(1) 임진왜란 직후에 수원에서 현풍현판관(玄風縣判官)으로 부임하였던 차세미(車世美)께서 처음에는 달성군 논공읍 약산에 우거(寓居)하였다가 그후 달성군 현풍읍 자모동에 복거(卜居)하였다.
(2) 그의 차자(次子)인 차군보(車君輔)께서 인조 때(1640년경)에 혼인하여 분가(分家)하여 고령군 성산면 오곡리로 이거(移居)·정착(定着)함으로써 후손들은 세거(世居)하게 되었다.

 

4. 입향조 이후 역대 주요 인물


(1) 조선시대
⓵ 차완(車完)
자는 자인(子仁)이고 호는 사촌(沙村)이다. 처사 차명룡(車命龍)과 진사(進士) 임재근(林在根)의 따님 평택임씨(平澤林氏) 사이에서 현종 15년(1674년)에 태어났다. 가선대부(嘉善大夫) 용양위(龍驤衛) 대호군(大護軍)을 지냈다. 영조 13년(1737년) 졸(卒)하였다.
⓶ 차남희(車南熙)
자는 경지(敬之)이며 호는 오정(梧亭)이다. 처사 차면진(車冕震)과 조진규(趙濬奎)의 따님 함안조씨(咸安趙氏) 사이에서 헌종 3년(1662년) 태어났다. 공은 초야에 은둔하는 것을 좋아 했기에 영화와 이익에 마음을 두지 않았다. 역리(易理)에 몰두하고 문학으로 세상에 드러났다. 드러나 보이는 겉모습이 엄숙했다. 사람들이 모두 공경하고 두려워했다. 문하생이 많이 배출되었기에 사림들이 추앙하여 존귀하게 여겼다. 유고(遺稿)가 있다. 영조 24년(1748년) 졸(卒)했다.
(2) 근·현대 인물
⓵ 차징용(車澄鎔) :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개진면 우체국장
⓶ 차재하(車在夏) : 경상북도 도의회 의원
⓷ 차석용(車碩鎔) :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⓸ 차갑용(車甲鎔) : 육군 중령, 병기고 교리처장
⓹ 차팔용(車八鎔) : 법원행정처 사무국장, 서울고등법원 사무국장
⓺ 차한공(車漢空) : 육군 대령, 야전부대 연대장
⓻ 차한영(車漢永) : 행정고시 합격, 교통부 서기관
⓼ 차중현(車重鉉) : 대구 성서중학교 교장
⓽ 차한성(車漢成) : 법원행정처장 겸 대법원 판사, 법무법인 태평양 고문
⓾ 차호동(車昊東) : 대전지방검찰청 및 대구지방검찰청 검사

 

집필 : 향토사학자 이동훈(李東勳)
정리 : 편집국장 최종동(崔鍾東)

구독 후원 하기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