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마을(다산면) 곳곳에 숨어있는 재미있는 지명은?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획/특집

우리마을(다산면) 곳곳에 숨어있는 재미있는 지명은?

우리들의 선조들은 조상의 핏줄을 밝히고 보존하기 위해 족보를 만들고, 후손들은 족보에 대한 애착을 가지고 그것을 이어가고 있다. 그와 마찬가지로 자기가 살고 있는 고장의 구석구석 내력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고령군 8개 읍·면 각 마을의 유래와 재미있는 지명을 이번호에는 다산면 마지막회로 소개한다. <편집자 주>


▣ 월성리(月城里)

 

월성리마을유래비.JPG

 

⑴ 연혁(沿革)
본래 성주군 벌지면 지역이다. 고종 광무 10년(1906년)에 고령군에 편입됐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노동, 장척동, 남양동을 병합해 월성동이라 하고 다산면에 편입됐다. 1988년 5월 1일 동이 리로 바뀌어 오늘에 이른다.
자연마을로는 속칭 술래미, 바래미, 윗놉닥, 장자골, 노움방이 있다.
⑵ 지명 유래(地名 由來)
* 노움방, 고방(高坊) : 이 지역 일대는 지대가 낮아 비만 오면 침수가 됐으나 이 마을은 언덕위에 있어서 침수가 되지 않았으므로 고방, 노움방이라 불렀다.
* 장자골, 장자동(長者洞), 장척동(長尺洞) : 이 마을은 고방에서 동쪽으로 약 1.5km 떨어진 마을로 강하수 장군이 이 마을에 정착할 때 키가 8척 장신이라 해서 장척동, 장자골이라 한다. 한편 길게 생긴 마을 모양에서 유래됐다는 설도 있다.
* 수리니미, 수리나미, 술래미, 차남(車南), 남양동(南陽洞) : 이 마을 개척할 당시 마을 남쪽에 큰길이 있어 그 길에 수레를 타고 다니는 사람이 많아서 차남(車南)이라 하고 또한 산등이 수레바퀴 모양으로 생겼다 해서 수리니미, 수리나미, 술래미로 불린다.
* 웃놉닥, 상노다(上老多), 상노동(上老洞) : 낙동강가의 조그마한(10여가구) 마을로서 아래 놉닥 보다 위에 있는 마을이라 붙여진 이름이다. 또한 노론의 무리가 많다는 뜻의 이중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 바래미, 바르미, 발산(鉢山) : 이 마을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산이 퍼졌다 해서 발산이라 하고, 낙동강가의 높은 언덕 위에 위치해 바람이 세게 불어옴으로 바래미, 바르미로 부른다.
월성리 앞에는 낙동강과 은행나무 숲이 있으며, 비슬산 영봉이 강너머 마주하고 있어 그 풍광과 정기를 이어받아 현재까지 평안함이 이어져 오고 있다.
⑶ 기타
* 남산-골 : 노움방 뒤 골짜기
* 노움-방(고방, 고방동) : 장자고 서북쪽 골짜기 마을이다. 월성동에서 이 지역이 가장 높은 마을이다.
* 다산재(多山齋) : 1968년 창건, 강황보(姜璜寶)를 위해 후손들이 세웠고, 심산 김창숙(心山 金昌淑)의 기문이 있다.
* 딧산 : 노움방 뒤에 있는 산
* 딴산-등(단산등) :바래미 뒤에 있는 외딴 산
* 바래미-쏘 : 원당쏘
* 안심-골 : 노움방 서북쪽에 있는 골짜기로 못이 있다.
* 앙골-굴 : 노움방 안골에 있는 굴로 임진왜란 때 동래정씨가 피난했다.
* 앞바르미-쏘 : 바르미 아래 있는 소(원당쏘)
* 원당-들 : 바래미 앞에 있는 들로 원당쏘가 있다. 바래미쏘라고도 한다.
* 장투-말리 : 바르미 앞에 있는 산
* 절뚝골 : 절티곡(寺谷)이라고도 한다. 절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  좌학리(座鶴里)

 

좌학마을회관.JPG

 

⑴ 연혁(沿革)
본래 성주군 다산면 지역으로 지형이 학이 앉은 형상이라 좌학 또는 학동, 학골이라 한다. 고종 광무 10년(1906년)에 고령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발산동 일부를 병합해 좌학동이라 하고 1988년 5월 1일 동이 리로 바귀어 오늘에 이른다.
⑵ 지명 유래(지명 由來)
* 학골, 학동(鶴洞), 좌학(座鶴) : 이 마을은 약 300여 년 전 손(孫) 모씨가 마을을 개척해 정착당시 마을 뒷산에 해마다 많은 학이 날아와 서식하므로 학골, 학동이라 부르다가 그후 약 150여년이 지난 후 학이 앉는다고 좌학이라 불렀다.
⑶ 기타
* 구내-들 : 원전 아래 있는 들로 전에는 내가 흘렀다.
* 구-학교골 : 학골 옆에 있는 골짜기, 옛날 학교가 있었다.
* 내곡 : 안골, 학골 서쪽안에 있는 골짜기
* 냉실-들 : 도랑가 옆에 있는 들
* 네가리들 : 원전 옆에 있는 들
* 도랑가들 : 구내 옆에 있는 들로 도랑이 있었다.
* 들돌베기산 : 안골 옆에 있는 산으로 바위 위에 돌이 얹혀 있는 것이 마치 들려 있는 것 같아 붙여진 이름이다.
* 무드메들 : 밤시와 웃들 사이에 있는 들로 비가 조금만 와도 물이 찬다.
* 미륵 : 미륵재에 있는 미륵으로높이 1.5m 너비 2m이다.
* 미륵재(미륵령) :학동 서북쪽에 있는 고개로 미륵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 미륵봉(彌勒峯) : 상곡리와 좌학리에 걸쳐 있는 높이 192m의 산으로 미륵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 미산밑골 : 학골 동북쪽에 있는 골짜기, 미륵봉 밑이 된다.
* 방시들 : 네가리 동남쪽에 있는 들
* 방-골 : 학골 북쪽에 있는 골짜기다
* 신사리끝들 : 네가리 아래 있는 들이다.
* 아래무디기산 : 구 학교 옆에 있는 산
* 아랫들 : 구내 앞의 들
* 안쭈늪 : 학곡 동북쪽에 있는 늪이다.
* 야시너미골 : 양골옆 골짜기로 여우(야시)가 넘나들던 등성이가 잇다.
* 연늪 : 밤시옆의 늪으로 연꽃이 많이 피어 붙여진 이름이다.
* 연늪건너들 : 연늪 건너쪽의 들이다.
* 원전들 : 학골 앞들

 

▣  평리(平里)

 

평fl리마을회관.JPG

 

⑴ 연혁(沿革)
평리동, 평리, 들마라고도 한다. 본래 성주군 다산면 지역으로 들판에 세워진 마을이라고 들마 또는 평리라 한다. 고종 광무 10년(1906년)에 고령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평리동이라고 하다가 1988년 5월 1일 동이 리로 바뀌어 오늘에 이른다.
⑵ 지명 유래(地名 由來)
* 동낙골 : 닷기 남쪽에 있는 마을
* 구름말리 : 닷기장이 서는 마을로 닷기 남쪽에 있다.
* 뒷말리들 : 닷기 뒤에 있는 들이다.
* 떠징개들 : 아래밤시 밖에 있는 들로 지대가 높다.
* 베빠웅덩(둠벙) :소바우와 이성들 아래 있는 웅덩이로 깊이가 명주실 세 꾸러미가 다 들어갔다고 한다.
* 베빠웅덩들 : 둠벙이 있는 들이다.
* 서낭당 : 닷기 복판에 있는 서낭당, 매년 음력 정월 보름밤에 동제를 지냈다.
* 석지당걸들 : 닷기 서쪽에 있는 들로 신당이 있었다.
* 소바우(바위) : 웃밤시 남쪽 낙동강가에 있는 바위, 소같이 생겨 붙여진 이름이다.
* 소바우들 : 소바우가 있는 들
* 시나뭇걸들 : 평리동과 호촌동 사이에 걸쳐 있는 들이다.
* 아랫밤시들 : 밤시 아래쪽에 있는 들
* 영눗골들 : 웃밤시 앞에 있는 들이다.
* 웃밤시들 : 밤시 위에 있는 들
* 짱비티들 : 시나뭇걸 밖에 있는 들이다.

 

▣  호촌리(湖村里)

 

호촌1리마을전경.JPG

 

⑴ 연혁(沿革)
늪마, 호촌이라고도 한다. 본래 성주군 다산면 지역으로 늪 또는 호수가 많았으므로 늪마 또는 호촌이라 했다. 고종 광무 10년(1906년)에 고령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사촌동을 병합해 호촌동으로 하고 1988년 5월 1일 동을 리로 바뀌어오늘에 이른다.
⑵ 지명 유래(地名 由來)
* 늪마, 호촌(湖村), 훑촌 : 낙동강가의 마을이므로 마을 개척 당시 늪이 많아서 우리말로 늪마라 하고 호수가 있다고 해서 호촌으로 불렀다. 또 약 500년 전 큰 홍수로 낙동강이 범람해 이곳에 큰 호수가 생기고 그곳 흙을 훑어 갔다고 훓촌이라고도 했다. 이곳을 지나 대구로 오가므로 다산의 관문이 돼 사문이라 한다.
* 사문(沙門) : 옛날부터 낙동강 나루인 사문진(沙門津)으로 유명해 붙여진 이름이다. 낙동강 모래를 거쳐 배를 탄다고 사문진이라 하고 마을 이름을 사문이라 했다. 집단촌이 아니고 여기저기 흩어져 약 130여 가구가 살고 있다.
* 장두말리, 장도촌(將刀村), 장대말리 : 늪마 동쪽에 있는 마을로 들의 이름도 같다. 다사지현(多斯只縣) 때 군사를 훈련시키던 장대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⑶ 기타
* 사문진(사문나루) : 사문 동남쪽 낙동강가에 있는 나루로 달성군 화원읍으로건너간다.
* 새청들 : 늪마 동쪽에 있는 들
* 서당수들 : 장두말리 동쪽에 있는 들로 숲이 있었다.
* 시나무걸들 : 평리동의 시나뭇걸과 같다.
* 이성들 : 머거리 남쪽 낙동강가에 있는 들이다.
* 장대뚝(장대제방) : 장대말리에 있는 제방이다.
* 조산(造山) : 조산걸에 있는 산, 평리동 닷기마을을 보호하기 위해 조그마한 산을 모으고 길렀다.
* 조산걸들 : 머거리 북쪽에 있는 들, 조산이 있다.
* 짱밭땅들 : 사문 서쪽에 있는 들이다.
* 하막걸들 : 사문 북서쪽에 있는 들로 흙빛이 검다.
* 호촌늪(호촌소) : 늪마 앞의 늪으로 큰 늪과 작은 늪이 있었다.

 

 고령문화원 발행 고령문화 제7집 ‘高靈地方의 마을史’에서 발췌

구독 후원 하기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