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조씨(昌寧曺氏) 시중공파(侍中公派)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획/특집

창녕조씨(昌寧曺氏) 시중공파(侍中公派)

창녕조씨 일원각(一源閣).jpg

창녕조씨 일원각(一源閣)

 

 

1. 씨족연원(氏族淵源)

(1) 시조(始祖) 조계룡(曺繼龍)
① 신라 진평왕의 사위로 창성부원군(昌城府院君)에 봉해지고 벼슬이 보국대장군 상주국대도독 총지휘제군사(輔國大將軍 上柱國大都督 總指揮諸軍事) 금자광록대부 태자태사(金紫光祿大夫 太子太師)에 이르렀다.
② 시조(始祖) 탄생(誕生) 설화(說話)
신라 한림학사(翰林學士) 이광옥(李光玉)의 딸 예향(禮香)이 복병(腹病)을 앓고 있는터에 창녕 화왕산(火旺山) 용지(龍池)에 가서 목욕재계하고 기도를 올리면 낫는다는 세언(世言)이 있는지라 택일(擇日)하여 이행하던 중 구름과 안개가 덮어와 방향을 알 수 없게 되었다. 얼마 후 구름과 안개가 걷혀 못가운데에서 솟아나와 보니 복병(腹病)은 나았으나 태아(胎兒)를 갖게 되어 아들을 낳게되었고 겨드랑이 밑에 조(曺) 자가 씌여져 있었다. 그런데 산모(産母)의 꿈에 장부(丈夫)가 나타나 이르기를 그대는 이 아이의 부친을 알겠오? 내가 이아이의 부친인데 옥결(玉玦)이라 하오. 그대는 이 아이를 잘 기르오. 잘하면 공후(公侯: 공작과 후작)가 될 것이며 적어도 경상(卿相 : 재상)은 되어 자손만대에 끊기지 않을 것이오 라고 했다는 것이다. 이 사실을 이광옥(李光玉)으로부터 전해들은 왕은 조계룡(曺繼龍)으로 사성명(賜姓名)하고 성장한 후 진평왕의 여서(女婿)로 삼아 창성부원군(昌城府院君)에 봉하니 이 분이 곧 창녕조씨(昌寧曺氏)의 시조(始祖)이다.
③ 조계룡(曺繼龍) 이후 세계(世繼)는 실전(失傳)되어 전해지지 않고 신라 말 아간시중(阿干侍中)을 지낸 조흠(曺欽)의 아들 조겸(曺謙)이 고려 태조와 신덕왕후의 딸 덕공공주(德恭公主)와 혼인하였으며 태악서승(太樂署丞)이란 벼슬을 지낸 기록이 있어 조겸(曺謙)을 중시조(中始祖)로 받들고 있다고 한다.

(2) 고려시대 8대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조선시대 남명(南冥) 조식(曺植)를 배출한 명문가
① 고려시대 조겸(曺謙)의 손자 조연우(曺延祐)로부터 조자기(曺自奇)에 이르기까지 8대에 걸쳐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지냈고 다시 6대 뒤에 조송무(曺松茂)·조송군(曺松君)·조송학(曺松鶴)의 3형제를 위시하여 6대에 걸쳐 소감(少監)을 배출하여 문중이 크게 일어났다.
② 조선시대 ‘경(敬)으로서 나를 밝히고 의(義)로서 나를 던지고’ 경상우도 사림(士林)의 영수(領袖)로서 퇴계(退溪) 이황(李滉)과 함께 16세기 영남학파(嶺南學派)의 거봉(巨峰) 남명(南冥) 조식(曺植)을 배출하였다.

(3) 분파(分派) 
감사공파(監司公派), 낭장공파(郎將公派), 대사헌공파(大司憲公派), 대호군공파(大護軍公派), 만호공파(萬戶公派), 문익공파(文翊公派), 문장공파(文莊公派), 문정공파(文貞公派), 문간공파(文簡公派), 밀직사공파(密直使公派), 병조참의공파(兵曹參議公派), 부사직공파(副司直公派), 부위공파(副尉公派), 부제학공파(副提學公派), 병사공파(兵使公派), 부사공파(府使公派), 상호군공파(上護軍公派), 시직공파(侍直公派), 승지공파(承旨公派), 사의공파(司議公派), 사성공파(司成公派), 사정공파(司正公派), 사직공파(司直公派), 송학공파(松鶴公派), 수찬공파(修撰公派), 시랑공파(侍郞公派), 시중공파(侍中公派), 양평공파(襄平公派), 지평공파(持平公派), 직장공파(直長公派), 장양공파(壯襄公派), 좌시중공파(左侍中公派), 중추공파(中樞公派), 지중추공파(知中樞公派), 진사공파(進士公派), 찬성공파(贊成公派), 청구당공파(靑邱堂公派), 창산군파(昌山君派), 참의공파(參議公派), 참판공파(參判公派), 충간공파(忠簡公派), 충순위공파(忠順衛公派), 참의공파(參議公派), 충정공파(忠貞公派), 충익공파(忠翼公派), 취원당파(聚遠堂派), 태복경공파(太僕卿公派), 태학사공파(太學士公派), 판윤공파(判尹公派), 헌납공파(獻納公派), 현감공파(縣監公派), 희천공파(熙川公派), 효강공파(孝康公派) 등 49개파로 나눠져 있다.
(4) 창녕조씨(昌寧曺氏) 관내 세거(世居) 현황
①『2000년 인구주택총조사 성씨 및 본관보고서』에 의하면 고령군 관내에 창녕조씨(昌寧曺氏)는 402가구 1,344명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② 시중공파(侍中公派) 후손들은 대가야읍 일원, 개진면 양전리, 태복경공파(太僕卿公派) 후손들은 송곡1리, 나정1리 등에 세거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2. 현조(顯祖)

(1) 신라시대
① 조흠(曺欽)
신라말기에 아간시중(阿干侍中)의 벼슬을 지냈으나 신라가 망한 것을 슬퍼하여  벼슬을 버리고 토함산(吐含山)에 들어가 시를 짓기를, “천년의 왕업이 일조에 먼지 되니(千年王業一朝塵), 백수의 외로운 신하 수건엔 눈물 가득(白首孤臣淚滿巾). 묻노니 수양산은 그 어디 있는 건가(借問首陽何處是). 토함산의 밝은 달만 가까이하고 있네(吐含明月自相親)”라고 시문(詩文)을 남기고 신라에 대한 절의(節義)를 지켰다.

(2) 고려시대
① 조용기(曺用奇)
자는 방언(邦言)이며 호는 강세선(降世仙)이며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조의문(曺義文)의 아들이다. 이부시랑(吏部侍郞)을 거쳐 평장사(平章事)를 지냈다. 현종 2년(1018년) 거란족이 기회를 보아서 느닷없이 함부로 우리 국경을 침범하자. 모든 벼슬아치들이 강을 건너 강화도로
피신하자 앞장 서 큰 깃대를 지고 앞서 달려가 매우 큰 공이 있었다고 여사(麗史)에 기록되어 있다.
② 조정통(曺精通)
다른 이름은 조윤통(曺允通)이고 호는 수운(水雲)이고 시중(侍中)을 증직받은 조성(曺晟)의 아들이다. 고려사에 의하면 충렬왕 즉위년(1274년) 6월 이부원외랑(吏部員外郞) 곽희빈(郭希份)과 낭장(郞將) 조정통(曺精通)이 바둑을 잘 두었기 때문에 황제의 부름을 받고 원(元)으로 갔으며 원 세조의 총애를 받고 고려인삼을 징발하고 동계(東界)의 응방(鷹坊)을 관장하도록 하였고 붉은 가죽 띠를 하사받았다. 충렬왕 16년(1290년)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를 거쳐 시중(侍中)을 지냈다. 현학금(玄鶴琴)을 잘 타 그가 지은 별조(別調)가 세상에서 행하여졌다. 그리고 선에 대한 이치를 깨닫고, 국가의 발전과 국민의 만복을 기원하기 위해 여는 법회인 담선법회(談禪法會)를 복설(復設 : 없어졌던 것을 다시 베풂)하였다. 충렬왕 32년(1306년) 졸(卒)하였다. 철야군(鐵冶君)에 봉군(封君)되었다. 진도 효충사(孝忠祠), 강진 대계사(大鷄祠), 김해 충현사(忠賢祠)에서 향사(享祀)한다.
③ 조신의(曺臣義)
의랑(議郞)을 지낸 조경룡(曺慶龍)의 아들이다. 모평감무(牟平監務)를 지냈다.
임금에게 상소문(上疏文)을 올렸으나 배척(排斥) 당하자 벼슬을 하지 않았다.
④ 조시우(曺時遇)
모평감무(牟平監務) 조신의(曺臣義)의 아들이다. 밀직사(密直司) 대언(代言)을 지냈다. 신돈(辛旽)이 어지러운 정치를 할 때 공은 도리(道理)에 어긋나지 않은 바른 말로써 이존오(李存吾), 성균관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지낸 원옹(圓翁) 정추(鄭樞) 등과 함께 참람(僭濫 : 분수에 넘침)과 거짓됨을 상소하였으나 도리어 큰 고초를 당하자 벼슬을 하지 않았다.
⑤ 조유인(曺由仁)
지청도군사(知淸道郡事) 조부(曺孚)의 아들로 태어났다. 공양왕 2년(1390년) 생원시에 장원한 후 태조 5년(1396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장발현감(長髮縣監)·진보현사(眞寶縣事)·경기도사(京畿都事)·형조정랑(刑曹正郞)·지양산군사(知梁山郡事)·청송부사(靑松府使)·예빈시(禮賓寺) 사례의(事禮議) 등을 거쳐 이조판서(吏曹判書)를 역임하였다. 세종 16년(1434년) 졸(卒)하였다.

(3) 조선시대
① 조절(曺楶)
이조판서(吏曹判書) 조유인(曺由仁)과 삼중대광(三重大匡) 수연대군(壽延大君)의 따님인 정경부인(貞敬夫人) 개성왕씨(開城王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이조판서(吏曹判書)를 지냈다.
② 조정(曺楨)
이조판서(吏曹判書) 조절(曺楶)과 중추원사(中樞院事) 양혜공(襄惠公) 달생(達生)의 따님인 정경부인(貞敬夫人) 창녕성씨(昌寧成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강화부윤(江華府尹)을 지냈다.
③ 조건(曺健)
자는 사강(士剛)이고 호는 백서(白墅)이고 시호는 문숙(文肅)이다. 목사 경남(慶男)과 대사헌(大司憲) 강원(剛元)의 따님인 숙부인(淑夫人) 남원양씨(南原梁氏) 사이에서 명종 20년(1565년)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선조 38년(1605년) 생원시에 입격(入格)한 후 사옹원(司饔院) 봉사(奉事)를 지내고 통정대부(通政大夫) 좌승지(左承旨)에 증직(贈職)되었다.
④ 조창서(曺昌緖)
사옹원(司饔院) 봉사(奉事) 조건(曺健)과 연평군(延平君) 이극신(李克臣)의 따님인 증(贈) 숙부인(淑夫人) 연안이씨(延安李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조의 음덕(蔭德)에 따라 그 자손을 관리로 서용하는 제도인 음서(蔭敍)로 도사(都事)·예빈시(禮賓寺) 첨정(僉正)·의령현감(宜寧縣監)·금천군수(衿川郡守)·사헌부(司憲府) 감찰(監察) 등을 역임하였다.
⑤ 조강(曺忼)
자는 자성(子誠)이다. 평구도찰방(平邱都察訪) 조덕여(曺德輿)와 첨지(僉知) 윤신(潤身) 사이에서 광해군 14년(1622년) 태어나 족조(族祖) 조창서(曺昌緖)에게 출계(出系)하였다. 효종 7년(1656년) 무과에 급제한 후 부사과(副司果)를 거쳐 비변사(備邊司) 랑(郞)을 거쳐 과의교위(果毅校尉)를 지냈다. 현종 7년(1666년) 졸(卒)하였다.
⑥ 조이량(曺爾樑)
자는 명경(明卿)이다. 부사과(副司果) 조강(曺忼)과 별제(別提) 만승(蔓勝)의 따님인 숙인(淑人) 고성이씨(固城李氏) 사이에서 인조 19년(1641년) 태어났다. 현종 13년(1672년) 무과에 급제한 후 선전관(宣傳官)·사헌부(司憲府) 감찰(監察)·
강동현령(江東縣令)·성천진관병마절제도위(成川鎭管兵馬節制都尉)를 지냈다 현종 14년(1688년) 졸(卒)하였다. 삼대(三代)가 추증되는 영예를 입은 것은 모두 증손 조붕(曺鵬)이 귀하게 되어 훈련원정(訓練院正)을 증직(贈職)받았다.
⑦ 조붕(曺鵬)
초휘는 희문(稀文)이고 자는 극보(極甫)이다. 삼성재(三省齋) 조몽징(曺夢徵)의 아들로 정조 3년(1779년) 태어났다. 순조 7년(1807년) 식년시(式年試) 무과에 급제하였다. 선전관(宣傳官)을 거쳐 칠원현감(漆原縣監)·영원군수(寧遠郡守)를 지내고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승품(陞品)되어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역임하였다. 조선 시대에, 벼슬아치의 직계 존속 삼대(三代)에 관직을 추증하는 삼대추영(三代追榮)의 은전(恩典)을 받았다.
 
3. 고령(高靈) 입향(入鄕)
어머니가 중병(重病)에 걸리자 손가락을 깨물어 피를 물려드려(斫指灌血) 수일간 소생시겼던 효자 춘촌공(春村公) 조현문(曺現文)이 1750년경에 김해 녹산에서 고령군 개진면 양전리로 이주(移住)하여 정착(定着).세거(世居)한 것으로 판단된다.
4. 입향조 이후 역대 주요인물

(1) 조선시대
① 조낙승(曺洛承)
 자는 치문(致文)이다. 석곤(錫坤)과 규일(揆一)의 따님인 순천박씨(順天朴氏) 사이에서 순조 22년(1822년) 태어났다. 성암(誠菴) 신상선(申相㵛)의 문인이다 몸가짐에 조행(操行)이 있었고 진실로 일상생활에서 지켜야 할 법도에 합당하였다. 주변에 가난한 이들을 구휼(救恤)하니 친한 사람과 소원(疏遠)한 사람들이 모두 기뻐하였다. 고종 10년(1873년) 졸(卒)하였다.
② 조병량(曺秉亮)
자는 응삼(應三)이고 호는 금초(錦樵)이다. 처사(處士) 낙승(洛承)과 영수(榮秀)의 따님인 양천최씨(陽川崔氏) 사이에서 철종 8년(1857년) 태어났다. 성품이 온후하며 정직하고 덕망과 풍채가 뛰어났다. 뜻이 크고 기개(氣槪)가 있으며 일본을 제압하려는 의지로 잠못이루다가 스스로 목을 찔렀다. 집사람이 간호하였으나 이로 인한 질병으로 1916년 졸(卒)하였다.
③ 조병직(曺秉直)
자는 선중(善中)이며 호는 청계(聽溪)이다. 처사(處士) 윤승(潤承)과 필복(必馥)의 따님 창녕성씨(昌寧成氏) 사이에서 고종 8년(1871년) 태어나 백부에게 출계(出系)하였다. 성암(誠菴) 신상선(申相㵛)의 문인이다. 효성과 우애는 하늘에 뿌리를 두었으며 집안을 가지런히 하고 주위에 궁핍하고 가난한 자들을 구휼(救恤)하였으니 마을에서 추중(推重)하였다. 1951년에 졸(卒)했다.
④ 조정환(曺廷煥)
자는 군필(君弼)이며 호는 겸재(謙齋)이다. 처사(處士) 금초(錦樵) 병량(秉亮)과 희태(希泰)의 따님인 순천박씨(順天朴氏) 사이에서 고종 19년(1882년) 태어나 백부(伯父) 금고(錦皐) 병근(秉根)에게 출계(出系)하였다. 성암(誠菴) 신상선(申相㵛)과 공산(恭山) 송준필(宋浚弼) 양문하(兩門下)에서 수학하였다. 문사(文詞)가 청아(淸雅)하고 정수(精粹)하였으며 지조(志操)도 겸하여 깨끗하였다. 경학(經學)에 감화를 받아 실제로 몸소 이행하였다. 1952년 졸(卒)하였으며 유고(遺稿)가 있다.

(2) 근∙현대 인물
① 조용찬(曺龍贊) : 성암(誠庵) 신상선(申相㵛)과 공산(恭山) 송준필(宋浚弼) 양문하(兩門下)에서 수학(受學)한 겸재(謙齋) 유생(幼生) 조정환(曺廷煥)과 기열(琪烈)의 딸인 고령박씨(高靈朴氏) 사이에서 1911년 11월 20일 태어났다. 한평생을 대가야(大加耶) 역사와 문화 연구에 몰두하여 『대가야의 얼』, 『적림산(赤林山) 주변사』,『고령향교 연혁』등 책자를 발간하는데 집필을 담당하였으며 1971년 고령군 대가야읍 장기리 532번지 소재 양전동(良田洞) 암각화(巖刻畵)를 발견하여 학계(學界)에 보고하여 보물 605호로 지정하는데 공헌하였으며 고령군의 향토사(鄕土史)를 발굴·조사 및 연구 활동으로 향토사를 정립하여 1991년 제2회 봉사부문에서 ‘자랑스런 고령군민상’을 수상하였으며 1991년 11월 19일 서울프레스센터에서 ‘제7회 서울신문 제정 향토문화대상 전통문화부문 본상’을 수상하였다. 2001년 졸(卒)하였다.
② 조창대(曺昌大) :  약사 
③ 조규해(曺圭海) :  의사
④ 조규동(曺圭東) :  대구 남부보건소 과장 역임 
⑤ 조규돈(曺圭敦) :  건국대/고려대 교수 역임
⑥ 조규만(曺圭萬) : (주) 조광포장산업 대표, (주) 삼남컨설팅 대표
⑦ 조규오(曺圭五) : 고령농업기술센터 소장
⑧ 조대현(曺大鉉) : 합포고 교장 역임
⑨ 조이현(曺二鉉) : 가창면장 역임
⑩ 조정호(曺正鎬) : 동고령 농협조합장 역임
⑪ 조세현(曺世鉉) : 사진작가 대학교수
⑫ 조수현(曺秀鉉) : 서울경찰청 경감
⑬ 조정현(曺政鉉) : 영남대 교수
⑭ 조양현(曺羊鉉) : 대구시 사무관
⑮ 조경호(曺京鎬) : 국방부 해병대 중령
⑯ 조영생(曺永生) : 미얀마 양곤 신학대 총장
⑰ 조영대(曺永大) : 변호사(서울)
⑱ 조영우(曺永宇) : 변호사(서울)
 
 
집필 : 향토사학자 이동훈(李東勳)
정리 : 편집국장 최종동(崔鍾東)

 

구독 후원 하기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