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마을 곳곳에 숨어있는 재미있는 지명은?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

우리마을 곳곳에 숨어있는 재미있는 지명은?

우리마을 산책/ 운수면


우리들의 선조들은 조상의 핏줄을 밝히고 보존하기 위해 족보를 만들고, 후손들은 족보에 대한 애착을 가지고 그것을 이어가고 있다. 그와 마찬가지로 자기가 살고 있는 고장의 구석구석 내력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고령군 8개읍·면 각 마을의 유래와 재미있는 지명을 지난 호에 이어 두 번째 운수면을 소개하고자 한다. 〈편집자 주〉


 △ 법리(法里)
⑴연혁(沿革)
법리는 본래 성주군 도장면 지역으로 법당이 있어 법당골 또는 법동(法洞)이라 했는데, 고종 광무 10년 1906년 고령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연봉동, 백천동을 병합해 법동이라 하고 운수면에 편입됐고, 1988년 5월 1일 洞이 里로 바뀌어 오늘에 이른다.
⑵지명 유래(地名 由來)
* 잣밭골, 백전동(栢田洞), 단산동(丹山洞) : 이 마을 개척 당시 마을에 잣나무가 많아 잣나무골이라 한문으로 표기하다 보니 백전동(栢田洞)이라 하고 마을 뒷산에 단풍이 들면 온산이 붉은데 단산(丹山)이라 했다. 그 단산 밑 마을이라 단산동이라 한다.
* 독점·독점이 도점(陶店) : 조선시대 이곳에서 독을 만들고 굽던 곳이라 하여 한문으로 표기하니 도점(陶店)이 됐다.
* 아랫잣밭골, 하법동(下法洞) : 법동 즉 잣밭골로 들어서면 바로 첫 마을인데, 법동 아래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하법동 아래잣밭골이라 한다. 또 마을 뒷산 절의 법당이 있어 법동이라 하며 하법동이라고도 한다.
* 나안대(羅安臺) : 독점 동북쪽에 있는데, 의봉산 바로 밑으로 경치가 매우 아름다운 놀이터다.
* 독점대 : 독점 앞의 개울
* 뒷들 : 자밭골 위에 있는 들
* 버드나무거리들 : 집앞들 바로 아래에 있는 들인데 버드나무가 많아 붙여진 이름이다.
* 법줏골 : 법동 위에 있는 골짜기
* 변산 : 배미산이라고도 하는 자밭골 서남쪽 외따로 서 있는 산
* 불당골 : 서낭당 아래 골짜기로 이곳에 절이 있었다.
* 살구배미논 : 율미개울에 있는 논인데, 살구 한 바구니와 맞바꿨다고 붙여진 이름
* 고샛지 : 자밭골에서 신간동 봉산리로 넘어가는 작은 고개
* 서낭당고개 : 나안대 아래에 있는 고개로 서낭당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 순네미산 : 단산이라고도 하며, 바로 잣밭골 뒷산이다.
* 순네밋골 : 버드나무거리 아래 골짜기로 바로 단산 순네미산 밑이다.
* 안산 : 독점 앞에 있는 산
* 율미개울 : 뒷들 아래의 들
* 자밭골도랑 : 자밭골 앞의 개울
* 절골 : 사곡인데, 독점뒤 골짜기로 이곳에 절이 있다.
* 청룡골 : 자밭골 청룡쪽에 있는 골짜기
* 독점재
△ 봉평리(鳳坪里)
⑴연혁(沿革)
본래 성주군 흑수면 지역인데 고종 광무 10년 1906년 고령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순평동, 외신동, 연봉동과 운라면의 금성동을 병합해 변봉과 순평의 이름을 따서 봉평동이라 했다. 운수면에 편입돼 오늘날 운수면 소재지로 면사무소, 파출소, 농협, 우체국, 학교가 들어서 있고 1988년 5월 1일 洞이 里로 바뀌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⑵지명 유래(地名 由來)
* 한다리, 대교리(大橋里) : 지금 운수면 소재지 마을로서 현 대가천에 다리가 없어 운수면민들이 고령읍으로 래왕할 때 나무로 다리를 길게 만들어 한없이 긴 다리라 해 한다리마을이 됐다. 한문으로 표기하니 대교리가 됐다. 현재는 대가천을 가로 지르는 견고한 시멘트 다리가 서 있다.
* 금성리(錦城里) : 조선시대 운라면 소재지 마을로서 옛날 이 마을에 사는 비단 장사들이 비단을 성같이 쌓아두고 팔았다 해서 금성리라 했으며, 지금 한다리에 있는 운수초등학교가 이곳에서 개교했다.
* 순평(順坪, 舜坪) : 들 중앙에 위치한 마을인데 이곳에는 산골마을이 아니고 평평한 순한들 마을이라 해서 순평(順坪)이라 하고, 이곳에 사는 사람들이 순임금 같이 어질고 착한 곳이라 해서 순평(舜坪)이라고도 한다.
* 연봉(延鳳) : 마을 옆에 있는 의봉산(儀鳳山)에서 봉이 내려와 살았다 해서 연봉이라 했다.
* 배골, 배아골, 리곡(利谷), 백학곡 : 옛날 이곳에 배나무가 많아 배골, 배아골 또 한문표기로 배나무리(利)자를 따서 리곡이라 했으며, 또 이곳에 학이 많이 날아와 살았으므로 백학곡이라고도 한다.
* 논골, 답곡(沓谷) : 순평 위에 조그마한 마을인데, 주위가 온통 논으로 둘러쌓여 논골 또는 답곡이라 하며 5~6호의 농가가 있다.
* 원전(院前) : 연봉 들머리에 위치한 5가구의 조그마한 마을이다. 조선시대 이곳에 국가에서 원(院)을 세웠는데, 원앞의 마을이라해서 원전이라 부른다.
* 고랫들 : 고자바웃들 동쪽에 있는 들인데, 물이 좋고 땅이 기름지다.
* 고자바우 : 고지바우라고도 하는데, 한다리 동북쪽에 있는 바위로 네모진 큰 바위가 북쪽에서 남쪽을 향해 한 줄로 드문드문 놓여 있는데, 옛 가야국의 경계 표석이라 한다.
* 고자바웃들 : 고자바우가 있는 들
* 논골 : 연봉 앞 골짜기인데, 논이 많이 있었다.
* 한다리 장 : 대교장이라고도 하는데, 5일마다 장이 섰는데 지금은 없어졌다.
* 배핫골 : 논골 옆에 있는 골짜기
* 새들 : 금성리 앞에 새로 생긴 들
* 서달개울들 : 순평 옆에 있는 들
* 순평앞들 : 순평 앞에 있는 들
* 연봉산(延鳳山) : 연봉 뒤에 있는 산으로 높이가 62m나 된다. 산 모양이 연꽃처럼 생겨 붙여진 이름이다.
* 원징이들 : 연봉 앞에 있는 들
* 이망산 : 논골 뒤에 있는 산
* 의봉산성(儀鳳山城) : 유래는 알 수 없으나 대가야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며 표고 540m의 높은 산에 위치해 산정에서 달성군 일대까지 볼 수 있는 곳으로 부산에서 서울로 올라가는 봉수대(熢燧臺)가 있었다.
북서, 남서쪽은 자연 절벽이고 현재 봉수대의 석축은 거의 허물어지고 주마대(走馬臺)의 흔적이 남아있다.
* 추원재(追遠齋) : 1910년 창건, 증이조판서 파평인 윤지선(尹止善)을 위해 후손들이 건립한 재실
* 큰들 : 한들이라고도 한다. 한다리 둘레에 있는 들
* 탑승밋골 : 배핫골 옆 골짜기
* 탕근바우 : 탕근암이라고도 한다. 고자바우 위쪽에 있는 바위로서 모양이 탕근처럼  생겨 붙여진 이름이다.
* 원징이-들 : 연봉앞에 있는 들
△ 신간리(新間里)
⑴ 연혁(沿革)
본래 성주군 흑수면 지역인데 고종 광무 10년 1906년 고령군에 편입됐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신궁동, 봉계동, 물한동을 병합해 신궁과 물한의 이름을 따서 신한동이라 했다가 신간동이라 해서 운수면에 편입되고 1988년 5월 1일 동(洞)이 리(里)로 바뀌어 오늘에 이른다.
⑵ 지명 유래(地名 由來)
* 봉산리(鳳山里) : 의봉산(儀鳳山) 밑에 있는 마을이라 해서 봉산리라 한다.
물한이, 물한리(勿閑里), 무란 : 지금은 들녘으로 모두 이주를 하고 텅 빈 마을이지만 이 마을은 의봉산 중턱에 위치한 마을로서 골이 좁고 산세가 험해 한가롭게 지낸다는 뜻과 난이 없다는 무란에서 지어진 이름이다.
⑶ 기타
* 가는평골 : 돌목 골짜기에 가느다란 골짜기
* 개낫재 : 물한이 남동쪽에 있는 고개인데 성산면 상용으로 넘어가는 고개
* 경기나물밑들 : 물한이 남쪽에 있는 들로서 정자나무(느티나무) 밑들이라는 뜻이다.
* 경모재(敬慕齋) : 1932년 창건, 죽산인 전극창(全克昌)과 그의 손자 주국(柱國)을 위해 세운 재실
* 구시개울 : 요왕개울 아래에 있는 골짜기
* 꽃박이마산 : 물한이 남쪽에 있는 산인데 꽃이 많이 피어 붙여진 이름이다.
* 느티나무밑들 : 물한이 남쪽에 느티나무가 있어 붙여진 들 이름
* 다리께들 : 물한이 서쪽에 있는 골짜기
* 도장개울 : 물한이 서쪽에 있는 골짜기
* 도점산 : 물한이 옆에 있는 산인데 독처럼 생긴 바위가 있어 붙여진 이름
* 돌목골 : 다리께 남쪽에 있는 골짜기
* 동산 : 물한이 옆에 있는 산
* 들막 : 야막이락도 한다. 물한이 서북쪽에 있는 두세 집인데 처음에 막을 치고 살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등빙이산 : 물한이 북쪽에 있는 산
* 등재산 : 물한이 옆에 있는 산

<다음호에 계속>
고령문화원 발행 고령문화 제7집 ‘高靈地方의 마을史’에서 발췌

신간1리 마을 전경.JPG

신간1리 마을 전경

 

법리회관.JPG

법리회관

구독 후원 하기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