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최씨(慶州崔氏) 낙안공파(落安公派)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획/특집

경주최씨(慶州崔氏) 낙안공파(落安公派)

1. 씨족연원(氏族淵源)

(1) 경주최씨(慶州崔氏) 시조(始祖) 최치원(崔致遠)
 자는 해부(海夫)이고 호는 고운(孤雲)·해운(海雲)이다. 아버지는 경주 사량부(沙梁部)출신의 최견일(崔肩逸)이다. 경문왕 8년(868년) 12세의 나이로 당나라에 유학가서 경문왕 14년(874년) 빈공과(賓貢科)에 합격하였다. 헌강왕 2년(876년) 당나라 선주(宣州) 표수현위(漂水県尉)가 되었다. 그후 회남절도사(淮南節度使) 고변(高駢)의 추천으로 관역순관(館驛巡官)이 되었다. 879년 황소(黃巢)가 반란을 일으키자 고변이 제도행영병마도통(諸道行営兵馬都統)이 되어 이를 칠 때 고변의 종사관(從事官)으로 토황소격문(討黃巢檄文)을 지어  황소(黃巢)에게 보내었는데 황소(黃巢)가 이 격문(檄文)을 보다가 저도 모르게 침상에서 내려앉았다는 일화가 전할 만큼 뛰어난 천하의 명문(名文)으로《계원필경(桂苑筆耕)》에 실려 전한다. 그 공적으로  경문왕 10년(879년) 승무랑(承務郞) 전중시어사내공봉(殿中侍御史內供奉)으로 도통순관(都統巡官)에 승차(陞差)되었고 자금어대(紫金魚袋)를 하사받았다. 헌강왕 11년(885년) 신라로 귀국하여 시독겸한림학사(侍讀兼翰林學士) 수병부시랑(守兵部侍郞) 서서감지사(瑞書監知事)에 임명되었다. 진성여왕 4년(890년) 부성군(富城郡), 대산군(大山郡), 천령군(天嶺郡) 등지의 태수(太守)를 역임하였다. 진성여왕 8년(894년) 시무책(時務策) 10여 조를 왕에게 올려서 문란한 정치를 바로잡고자 하여 그에게 아찬(阿湌) 벼슬을 내렸으나 정치 개혁안은 실현되지 않아 은퇴의 길을 택하였다. 유불선(儒佛仙) 통합사상을 주창(主唱)하였으며 산수간(山水間)에서 방랑하다가 만년에 가야산 해인사에서 여생을 마친 것으로 보인다. 고령군 쌍림면 신촌리에 있는 정자 벽송정(碧松亭)에 그의 시문(詩文)이 남아 있고 가야산신 정견모주(正見母主)가 곧 천신(天神) 이비가(夷毗訶)에 응감(應感)되어  대가야의 왕 뇌질주일(惱窒朱日)을 낳았다는 대가야(大加倻)의 건국신화(建國神話)가『석이정전(釋利貞傳)』에 수록되어 있다. 시호(諡號)는 문창후(文昌侯)로 문묘(文廟)에 종향(從享)되어 있다.
(2) 관향(貫鄕)의 유래
신라 초에 최씨로 사성(賜姓)받은 신라 사량부(沙梁部) 촌장 소벌도리(蘇伐都利)를 원조(元祖)로 하고 있으나 선계(先系)가 요원(遼遠)하여 확실한 계대(系代)를 알 수 없어 그의 24세 손으로 전해지는 최치원(崔致遠)을 시조(始祖)로 하였으며 득성조(得姓祖)로부터 대대로 경주(慶州)에 세거하였으므로 후손들이 본관(本貫)을 경주(慶州)로 삼게 되었다.
(註釋)사량부(沙梁部)
돌산고허촌(突山高墟村)을 개명(改名)하여 사량부(沙梁部)라 하였다.
(3) 분파(分派)
최씨(崔氏)의 대종가(大宗家)를 이루는 경주최씨(慶州崔氏)는 문창후(文昌侯) 최치원(崔致遠)의 후대에서 크게 26파로 분파(分派)되어 세계(世系)를 이어오고 있으나 그중 관가정공파(觀稼亭公派)·광정공파(匡靖公派)·정랑공파(正郞公派)·사성공파(司成公派)·화숙공파(和淑公派)·충렬공파(忠烈公派) 등 6대파가 주축을 이루고 있다.
(4) 문묘(文廟) 종향(從享), 체협공신(諦祫功臣)을 배출한 삼한갑족(三韓甲族)
경주최씨(慶州崔氏)는 공자(孔子)를 비롯한 성현(聖賢)을 받드는 사당인 문묘(文廟)에 문창후(文昌侯) 최치원(崔致遠)이 종향(從享)되어 있고 공신(功臣) 중의 공신(功臣)으로 공로 있는 신하가 죽은 뒤에 역대 왕과 왕비의 위패를 모시던 사당인 종묘(宗廟)에 함께 제사를 지내는 체협공신(諦祫功臣) 최승로(崔承老), 최숙(崔肅), 최제안(崔齊顔) 등 세 분을 배출하는 등 신라, 고려, 조선의 삼조(三朝)에  걸쳐 학문 및 관위(官位)에서 드러난 조상을 둔 집안인 삼한갑족(三韓甲族)이다.
(5) 경주최씨(慶州崔氏) 관내 세거(世居) 현황
①『2000년 인구주택총조사 성씨 및 본관보고서』에 의하면 고령군 관내에 경주최씨(慶州崔氏)는 406가구 1,159명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② 낙안공(落安公) 처사(處士) 최자용(崔自溶) 후손은 우곡면 봉산리에, 보문각(寶文閣) 학사(學士) 중서시랑(中書侍郞) 판비서성사(判秘書省事) 동성군(東城君) 최종유(崔宗楡) 후손은 우곡면 속리에, 우계(寓溪) 처사(處士) 최동환(崔東煥) 후손은 덕곡면 옥계리 등에 집성촌(集姓村)을 이루고 세거하고 있다.
2. 현조(顯祖)
(1) 고려시대
① 최승로(崔承老)
 신라 6두품인 은함(殷含)의 아들로 태조 10년(927년)에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총명하고 학문을 좋아하여 12세 때  태조에게 불려나가『논어(論語)』를 읽었다. 이에 태조는 염분(鹽盆 : 소금을 만들 때 쓰는 큰 가마)를 하사하고 원봉성학생(元鳳省學生)이 되게 하였다. 또한 안마(鞍馬)와 예식(例食 : 관례에 따라 받는 곡물) 20석(碩)을 하사하였다. 이때부터 그에게 문한(文翰)에 관한 모든 책임을 맡겼다. 성종 1년(982년) 정광행선관어사상주국(正匡行選官御事上柱國)을 지낼 때 시정득실(時政得失)을 논하는 상소문이 유명한 ‘시무28조(時務二十八條)’로 척불숭유(斥佛崇儒)에 바탕을 둔  개혁안을 내어 국가체제를 정비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성종 2년(983년)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 성종 7년(988)년에는 문하수시중(門下守侍中)으로 청하후(淸河侯)로 봉해져 식읍(食邑) 700호(戶)를 받았다. 성종 8년(989년)년에 졸(卒)하니 성종이 몹시 슬퍼하고, 포(布) 1,000필, 면(麪) 300석, 갱미(粳米) 500석 등을 내려 그 훈덕(勳德)을 포상(褒賞)하였다. 태사(太師)에 추증(追贈)되고, 목종 1년(998년) 체협공신(禘祫功臣)으로 성종 묘정(廟庭)에 배향되었다. 그리고 덕종 2년(1033년)에 대광내사령(大匡內史令)이 더해졌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② 최숙(崔肅)
대광내사령(大匡內史令)을 증직(贈職) 받았던 승로(承老)의 아들로 태어났다. 관직은 문하시중(門下侍中)에까지 이르렀다. 성종 12년(993년)에 중추원부사(中樞院副使)로 재직하였다. 현종 18년(1027년) 목종의 체협공신(禘祫功臣)으로 묘정(廟廷)에 배향되었으며, 덕종 2년(1033년) 태사(太師)로 추증(追贈)되었다. 시호(諡號)는 원래 인효(仁孝)였으나, 선종 2년(1085년)에 문종의 시호(諡號)를 피하여 충의(忠懿)로 고쳤다. 생졸년(生卒年) 미상(未詳)이다.
③ 최제안(崔齊顔)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낸 숙(肅)의 아들로 태어났다. 최승로(崔承老)의 손자이다. 현종 11년(1020년) 천령절(千齡節)을 하례(賀禮)하기 위하여 거란에 다녀와서 태자우서자(太子右庶子)가 되고, 1030년에 중추사(中樞使)을 거쳐 덕종 3년(1034년) 호부상서(戶部尙書)·이부상서(吏部尙書)·상서좌복야중추사(尙書左僕射中樞使)·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역임하였다. 정종 9년(1043년) 문하시랑동내사문하평장사 판상서호부사(門下侍郎同內史門下平章事 判尙書戶部事)에 임명되고, 뒤에 태사문하시중(太師門下侍中)을 역임하였다. 병이 위독하니 문종이 친히 와서 문병(問病)하므로, 공(公)이 조복(朝服)을 갖추어 입고 감사의 절을 올린 이튿날 문종 1년(1046년) 졸(卒)하였으니 3일간 조회(朝會)를 폐지하고, 시호를 순공(順恭)이라 하였으며 태사중서령(太師中書令)에 증직(贈職)되었다. 문종의 묘정(廟庭)에 배향되었으며, 시호는 순공(順恭)이다.
④ 최유경(崔有慶)
초휘(初諱)는 방년(坊年)이다. 삼중대광(三重大匡)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최습(崔隰)의 아들로 태어났다. 15세에 입시(入侍 : 대궐 안에 들어가 임금에게 뵘)하여 충숙왕을 알현(謁見)하니 크게 기뻐하여 유경(有慶)이란 이름을 하사(下賜)하였다. 양광도도순찰사(楊廣道都巡察使)를 거쳐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역임하였다.
⑤ 최강(崔江)
일휘(一諱)는 유강(有江)이며 호는 두노(杜老)·초은(樵隱)이다. 판봉상시사(判奉常寺事)를 지낸 자운(子雲)과 광벽(光璧)의 따님인 풍양조씨(豊壤趙氏) 사이에서 공민왕 6년(1357년) 태어났다. 고려 후기에 중서사인(中書舍人)·문하시랑(門下侍郞)·지제고(知制誥) 등 청환직(淸宦職)을 지냈고, 관직이 전법판서(典法判書)에 이르렀으나, 고려가 멸망하고 조선이 건국된 후에 사직하였다. 태조가 예조참판(禮曹參判)에 제수하였으나 사양하였다. 이후 경기도 여주군(驪州郡)의 계림동(桂林洞)으로 내려가서 여생을 보냈다. 세종 23년(1441년) 졸(卒)하였다.세조(世祖) 때 병조판서(兵曹判書) 충무위대호군(忠武衛大護軍)으로 추증(追贈)되었다.
(註釋) 청환직(淸宦職)
학식과 문벌이 높은 사람에게 시키던 사헌부, 사간원, 규장각, 홍문관 등의 벼슬로 지위와 봉록은 높지 않으나 뒷날에 높이 될 자리이었으므로 선망의 벼슬 자리를 말한다.
(2) 조선시대
① 최온손(崔溫孫)
전법판서(典法判書) 강(江)과 비순위정용낭장(備巡衛精勇郎將) 천비(天備)의 따님 정부인(貞夫人) 광주이씨(廣州李氏)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생졸년(生卒年) 미상(未詳)이다
② 최계손(崔係孫)
전법판서(典法判書) 강(江)과 비순위정용낭장(備巡衛精勇郎將) 천비(天備)의 따님 정부인(貞夫人) 광주이씨(廣州李氏) 사이에서 차남으로 우왕 4년(1378년) 태어났다. 음직(蔭職)으로 충순위(忠順衛) 병절교위(秉節校尉)를 거쳐 통훈대부(通訓大夫) 형조정랑(刑曹正郞)을 지냈다. 세종 27년(1445년) 졸(卒)하였다.
③ 최담(崔曇)
일휘(一諱)는 운(澐)이고 자는 연지(演之)이다. 형조정랑(刑曹正郞) 계손(係孫)과 홍문관(弘文館) 교리(校理) 경유(景裕)의 따님 숙부인(淑夫人) 안동권씨(安東權氏) 사이에서 세조 3년(1457년) 태어났다. 음사(蔭仕)로 밀양부사(密陽府使)·승정원(承政院) 죄승지(左承旨)를 지냈다. 숙종 15년(1689년) 남인(南人)이 경종의 어머니인 희빈장씨(禧嬪張氏)의 소생인 원자 세자 책봉 문제로 서인(西人)을 몰아내고 재집권한 기사사화(己巳士禍) 때 능욕(凌辱)을 보고 온양(溫陽)에서 지평(砥平 : 양평군)의 별서(別墅 : 농사를 겸한 별장)에 머물면서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 촌항(村恒) 양원겸(楊元謙) 선생 등과 함께 현실에서 벗어나 세상일을 잊고 도학(道學)과 문장(文章)을 논하였다. 사섬시정(司贍寺正)을 지냈다.  중종 17년(1522년) 졸(卒)하였다.
④ 최계성(崔啓聖)
통덕랑(通德郞) 덕우(德宇)와 판서(判書) 항(項)의 따님인 파평윤씨(坡平尹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모장군(禦侮將軍) 행(行) 군기시(軍器寺) 판관(判官)을 지냈다. 생졸년(生卒年) 미상(未詳)이다.
⑤ 최린(崔璘)
군기시(軍器寺) 판관(判官) 계성(啓聖)과 용양위(龍驤衛) 부호군(副護軍) 돈(敦)의 따님인 청주한씨(淸州韓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가선대부(嘉善大夫) 호조참의(戶曹參議)를 지냈다. 생졸년(生卒年) 미상(未詳)이다.
3. 고령(高靈) 입향(入鄕)
통정대부(通政大夫) 승정원(承政院) 좌승지(左承旨)를 증직(贈職)받았던 낙안(落安) 최자용(崔自溶)이 선조 25년(1592년) 임진왜란의 병화(兵禍)를 피하여 여주군(驪州郡) 대송면(大松面) 계림리(桂林里)에서 비옥한 사질(沙質) 충적토(沖積土)가 질펀한 들판을 이루고 있는 등 전형적인 배산임수(背山臨水)의 형세(形勢)를 갖춘 명당(明堂)이자 천혜(天惠)의 자연환경을 갖춘 복지(福地) 낙동강 유역의 우곡면 봉산동으로 입향(入鄕)하였다.
4. 입향조 이후 역대 주요인물
(1) 조선시대
① 최순산(崔順山)
자는 익수(益水)이다. 처사(處士) 자용(自溶)과 상춘(尙春)의 따님 광주이씨(廣州李氏) 사이에서 차남으로 명종 21년(1566년) 태어났다. 절충장군(折衝將軍)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냈다. 광해군 14년(1622년) 졸(卒)하였다.
② 최선백(崔先伯)
자는 여문(汝文)이다. 처사(處士) 성상(聖尙)과 치복(致復)의 따님 달성서씨(達城徐氏) 사이에서 장남으로 인조 12년(1634년) 태어났다. 부호군(副護軍)을 지냈다. 숙종 31년(1711년) 졸(卒)하였다.
③ 최취현(崔就賢)
자는 유능(有能)이다. 부호군(副護軍) 선백(先伯)과 홍열(洪烈)의 따님 숙부인(淑夫人) 달성서씨(達城徐氏) 사이에서 차남으로 숙종 22년(1696년) 태어났다. 부호군(副護軍)을 지냈다. 영조 12년(1736년) 졸(卒)하였다.
④ 최한숙(崔漢淑)
일휘(一諱)는 윤화(潤和)이고 자는 윤익(允益)이며 호는 송파(松波)이다. 처사(處士) 석구(錫九)와 광보(光輔)의 따님 경주김씨(慶州金氏) 사이에서 순조 32년(1832년) 태어났다. 낙동강 유역 농토는 강물 수면이 높아 1년에 2∼3회 홍수를 당하고 우기(雨期)에는 내수(內水)가 침수(浸水)되어 배수(排水)가 되지 않아 농작물의 피해가 극심하자 공(公)이 1878년 낙동강으로 연결하는 약 3km에 달하는 배수구(排水口) 공사를 시작하여 1880년에 마무리함으로써 상습 침수 농경지를 수리안전답(水利安全畓)으로 전환시켰다. 광무 3년(1899년) 졸(卒)하였다. 지역주민들이 흉년 등으로 말미암아 굶주림에 빠진 빈민(貧民)을 구제하기 위하여 배수구 공사를 하였던 공의 공적을 대대로 잊지 않고 기리기 위하여 유방각(流芳閣) 안에 ‘덕망혁세구황진휼유공덕비(德望赫世救荒賑恤有功德碑)’를 세웠다.
(2) 근∙현대 인물
① 최진기(崔鎭基) : 대구시 상수도 관리과장
② 최종호(崔鍾鎬) : 외무고시합격, 네델란드대사관 부총영사
③ 최성기(崔晟基) : 경제학 박사, 안동대 사회과학 대학장
④ 최영대(崔榮大) : 우곡 단위농협조합장,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⑤ 최진석(崔珍碩) : 경영학 박사
⑥ 최환석(崔桓碩) : 서울대 치대졸업 치과의사
⑦ 최  건(崔 鍵)  : 국민연금 관리공단 대구경북지사장
⑧ 최만기(崔萬基) : 대구농림고등학교 교장
⑨ 최창기(崔唱基) : 남양주경찰서 경정
⑩ 최영석(崔榮碩) : 면의원, 농경지사업추진위원장
⑪ 최영완(崔榮宛) : 경북도 건설과장, 토목기술사, 삼양건설대표
⑫ 최영태(崔榮泰) : 육군 대령
⑬ 최호기(崔皓基) : 대구시 북구 의원, 대구도원새마을 금고 이사장
⑭ 최용기(崔鏞基) : 창원대 교수, 헌법학회 회장
⑮ 최문기(崔文基) : 경성대 교수(민법) 및 법정대학장
⑯ 최종수(崔鍾秀) : TBC 편집국장
⑰ 최종천(崔鍾天) : 대구 삼성정형외과 과장
⑱ 최승복(崔昇福) : 신소재 공학박사
⑲ 최지현(崔智玹) : 대구과학대 교수(아동간호학)
⑳ 최종숙(崔鍾淑) : 빈흥유계 도청(都廳), 고령군 범최씨(汎崔氏) 종친회장
㉑ 최영철(崔榮鐵) : 성산면장
 
자료제공 : 빈흥유계 도청 최종숙(崔鍾淑)
집필 : 향토사학자 이동훈(李東勳)
정리 : 편집국장 최종동(崔鍾東)

봉양서원, 우곡면 봉산길 76.JPG

봉양서원(우곡면 봉산길 76)

구독 후원 하기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