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래정씨(東萊鄭氏) 양평공파(襄平公派), 참판공파(參判公派)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획/특집

동래정씨(東萊鄭氏) 양평공파(襄平公派), 참판공파(參判公派)

오로재, 덕곡면 노리1길 26.JPG

오로재(덕곡면 노리1길 26)

 

1. 씨족연원(氏族淵源)
(1) 정씨(鄭氏)의 시원(始源)
서산정씨(瑞山鄭氏) 등 중국에서 귀화한 사실이 뚜렷한 정씨(鄭氏)를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우리나라 정씨(鄭氏)의 시원(始源)을 이룬 경주정씨(慶州鄭氏)는 진한국(辰韓國) 사로(斯蘆)의 6촌(村) 중 취산진지촌장(觜山珍支村長) 지백호(智伯虎)를 도시조(都始祖)로 받들고 있다.「삼국사기(三國史記)」와 「동경지(東京誌)」에 의하면, 지백호(智伯虎)는 한무제 원수 6년(기원전 117년) 경주 화산(慶州花山)에 강림(降臨)하여 부족국가(部族國家)이던 사로(斯盧)의 여섯 고을 중 취산진지촌(觜山珍支村)을 다스리면서 신라건국(新羅建國)에 모체(母體)를 이루었고, 신라 유리왕 9년(서기 32년) 그의 현손대(玄孫代)에 와서 다른 다섯 촌장들과 함께 사성(賜姓)받을 때 본피부(本彼部)로 개칭(改稱)되면서 정씨(鄭氏)의 성(姓)을 하사(下賜)받은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신라 법흥왕 때 문화(文和)로 시호(諡號)를 받았고, 태종무열왕 3년(656년)에 감문왕(甘文王)에 추봉(追封)되었다. 따라서 동래정씨(東萊鄭氏)도 취산진지촌장(觜山珍支村長) 지백호(智伯虎)의 후손이다.
(2) 시조는 정회문(鄭繪文), 기세조(起世祖) 정지원(鄭之遠)
을미보(乙未譜 : 1655년)에는 안일호장(安逸戶長) 정회문(鄭繪文)을 시조로 하여 기세(起世)하였으나 병신보(丙申譜 : 1716년)이후 부터는 문안공(文安公) 정항(鄭沆)의 묘지석(墓誌石)이 발견되어 계대(系代)가 확실한 보윤공(甫尹公) 정지원(鄭之遠)을 기세조(起世祖)로 하고, 정회문(鄭繪文)을 득관조(得貫祖)로 하였다.
(3) 분파(分派)
① 동래 정씨(東來 鄭氏)는 정지원(鄭之遠)의 6세에서 교서랑공파(校書郞公派)와 첨사공파(詹事公派)의 2파로 대별된다.
② 교서랑공보파(校書郞公輔派)는 전서공파(典書公派), 설학재공파(雪壑齋公派), 문경공파(文景公派), 참의공파(參議公派), 평리공파(評理公派), 참판공파(參判公派) 등 6개 계파(系派)로 분파(分派)되었다. 
③ 첨사공필파(詹事公弼派)는 윤창파(允昌派), 호군공파(護軍公派), 수찬공파(修撰公派), 직제학공파(直提學公派), 참봉공파(參奉公派), 대호군공파(大護軍公派) 등 6개 계파(系派)로 분파(分派)되었다. 
④ 정선경(鄭善卿)을 입향조(入鄕祖)로 하는 동평군파(東平君派)는 양평공파(襄平公派), 참판공파(參判公派)로 분파(分派)되었다.
(4) 동래정씨(東萊鄭氏) 관내 세거(世居) 현황
①『2000년 인구주택총조사 성씨 및 본관보고서』에 의하면 고령군 관내에 동래정씨(東萊鄭氏)는 317가구 893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② 양평공(襄平公) 정종(鄭種)의 후손 중 봉천군(蓬川君) 인운(仁耘)의 후손은 대가야읍 일원, 덕곡면 노리, 우곡면 답곡2리, 부사직공(副司直公) 신운(信耘)의 차남 백수(百壽) 후손은 다산면 월성리(고방동)에 입향후 다산면 평리리에 세거하고 있으며 참판공파(參判公派) 정비(鄭秠)의 후손은 대가야읍 신리, 저전리, 내상리(동촌), 덕곡면 만하동 등지에 세거하고 있다.
2. 현조(顯祖)
(1) 고려(高麗)
① 정목(鄭穆)
호는 영양(榮陽)이며 안일호장(安逸戶長) 문도(文道)의 아들로 정종 6년(1040년) 태어났다. 문종 26년(1072년) 임자방(壬子榜) 문과에 급제한 후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를 거쳐 검교(檢校) 예빈경(禮賓卿) 행(行) 섭태부경(攝太府卿)을 지냈으며 자금어대(紫金魚袋)를 하사받았다. 숙종 10년(1105년) 졸(卒)하였다. 시호(諡號)는 문안(文安)이다. 아들 정제(鄭濟)·정점(鄭漸)·정택(鄭澤)·정항(鄭沆)은 모두 문과에 올라 각각 시랑(侍郞)형부랑중(刑部郞中)·문하급사중(門下給事中)·태자찬선대부(太子贊善大夫)·예부상서한림학사(禮部尙書翰林學士)에 이르렀다.
② 정양생(鄭良生)
밀직(密直) 겸(兼) 감찰대부(監察大夫) 세호(世瑚)와 총랑(總郞) 전(銓)의 따님인 진천송씨(鎭川宋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고려 말 문과에 급제하여 판관(判官)을 거쳐 우왕 2년(1376년)에 대사헌(大司憲)이 되었고 그 해 3월 청백리(淸白吏)에 선출되었다. 봉원군(蓬原君)에 봉해졌고 단성보리찬화공신(端誠輔理贊化功臣)에 책록(策錄) 되었다. 시호(諡號)는 양도(良度)이다.  공양왕 4년(1392년) 졸(卒)하였다.
③ 정구(鄭矩)
자는 중상(仲常)이고 호는 설학재(雪壑齋)이다. 대사헌(大司憲) 양생(良生)과 문정공(文貞公) 근재(謹齋) 안축(安軸)의 따님인 순흥안씨(順興安氏) 사이에서 충정왕 2년(1350년) 태어났다. 우왕 3년(1377년) 문과에 급제한 후 전교시부령(典校寺副令)을 역임했다. 우왕 8년(1382년) 장인 김극공(金克恭)의 옥사(獄事)에 연루, 유배되었다. 태조 7년(1398년) 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를 거쳐, 이듬해  판교서감사(判校書監事) 겸 상서원소윤(尙瑞院少尹) 등을 지냈다. 정종 때 좌승지(左承旨)·도승지(都承旨)·대사헌(大司憲), 태종 때 예문관학사(藝文館學士)를 거쳐 중군총제(中軍摠制)·참지의정부사(參知議政府事)·공조판서(工曹判書)·호조판서(戶曹判書)·예조판서(禮曹判書)·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계림부윤(鷄林府尹)·개성 유후사 유후(開城留後司留後) 등을 역임하였다. 태종 17년(1417년) 의정부참찬(議政府參贊)으로 성절사(聖節使)가 되어 명나라에 건너가 홍무연간(洪武年間 : 1368년∼1398년)에 건강(建康)에서 만든 각궁(角弓)을 구입하여 왔고, 그 뒤 의정부찬성(議政府贊成)이 되었으나 풍질(風疾)로 사직하였다. 천성이 부지런하고 삼가고 명민(明敏)하여, 이르는 곳마다 명성과 공적이 있었다. 또 예서(隷書)·초서(草書)·전서(篆書)를 잘 썼다. 태종 18년(1418년) 졸(卒)하였다. 시호는 정절(靖節)이다.
(2) 조선시대
① 정선경(鄭善卿)
자는 선지(善之)이고 호는 반곡재(盤谷齋)이다. 의정부찬성(議政府贊成) 구(矩)와 좌윤(左尹) 승경(承慶)의 따님인 파평윤씨(坡平尹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사헌부(司憲府) 감찰(監察)·도사(都事)등을 거쳐 내섬시(內贍寺) 판관(判官)을 지냈다. 공의 장남 종(種)이 적개공신3등(敵愾功臣三等)에 책록(册錄)되어 순충보조공신(純忠補祚功臣) 정헌대부(正憲大夫) 호조판서(戶曹判書)에 추증(追贈)되고 동평군(東平君)에 추봉(追封)되었다. 세종 24년(1442년) 졸(卒)하였다.
3. 고령(高靈) 입향(入鄕)
(1) 내섬시(內贍寺) 판관(判官) 정선경(鄭善卿)이 세종 22년(1440년)경 의정부에서 낙남(落南)하여 평간공(平間公) 성주이씨(星州李氏) 이발(李潑)의 고향인 고령군 덕곡면 노리에 입향하였다.
(2) 장릉참봉(章陵參奉) 수완(壽完)이 헌종 6년(1840년)경 성주군 선남면에서 우곡면 답곡2리(희정동)으로 입향하였다.
4. 입향조 이후 역대 주요인물
(1) 조선시대
① 정종(鄭種)
자는 묘부(畝夫)이고 호(號)는 오로재(吾老齋)이다. 내섬시(內贍寺) 판관(判官) 선경(善卿)과 평간공(平簡公) 발(潑)의 따님 성주이씨(星州李氏) 사이에서 태종 17년(1417년) 태어났다. 세종 24년(1442년) 무과(武科)에 급제하였다. 단종 1년(1453년) 종성절제사(鍾城節制使)로 재임 중에 함길도절제사(咸吉道節制使) 이징옥(李澄玉)의 난(亂)을 당하여 이징옥(李澄玉)을 포살(捕殺)한 군공(軍功)으로 1등 공신에 책록(冊錄)되고 당상관(堂上官)으로 승진하였으며 단종 2년(1454년) 행종성도호부사(行鍾城都護府使)에 제수(除授)하였다. 그후 첨지중추 원사(僉知中樞院事)·행상호군(行上護軍)이 되었으며, 이듬해 세조의 즉위를 도와 원종공신(原從功臣) 1등에 책록되었다. 세조 3년(1457년) 3월 충청도절제사(忠淸道節制使)가 되고, 세조 7년(1461년) 10월에는 중추원부사(中樞院副使)로서 홍익성(洪益成)과 함께 하정사(賀正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세조 9년(1463년) 경상좌도도절제사(慶尙左道都節制使)를 지내고, 세조 13년(1467년) 5월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에는 이종(李徖) 휘하로 총통군(銃筒軍)을 이끌고 부장(副將)으로 출전하여 평정에 군공(軍功)을 세워 적개공신3등(敵愾功臣三等)에 책록되고 전토(田土)와 노비를 하사받았다. 같은 해 11월 공신연(功臣宴)을 베풀면서 세조가 정충적개공신(精忠敵愾功臣) 가정대부(嘉靖大夫) 행 충무위상호군(行忠武衛上護軍) 겸 오위장(兼五衛將)에 임명되었으며 칠산군(漆山君)에 봉해졌다가 동평군(東平君)으로 개봉(改封)되었다. 성종 2년(1471년) 9월 경주부윤(慶州府尹)되었고 성종 7년(1476년) 졸(卒)하였다. 시호는 양평(襄平)이고 적개공신(敵愾功臣) 교서(敎書)는 보물 제 1835호로 지정되어 있다.
② 정비(鄭秠)
증(贈) 정헌대부(正憲大夫) 호조판서(戶曹判書) 선경(善卿)과 평간공(平簡公) 발(潑)의 따님인 성주이씨(星州李氏) 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났다. 충좌위부사정(忠佐衛副司正)을 지냈으나 증손 대년(大年)이 이조판서(吏曹判書) 등 정승(政丞)의 반열(班列)에 올라 귀(貴)하게 되었기 때문에 가선대부호조참판(嘉善大夫戶曺叅判)에 증직(贈職)되었다. 생몰년(生沒年)은 미상(未詳)이다.
③ 정인운(鄭仁耘)
자는 유성(有成)이다. 경주부윤(慶州府尹)을 지낸 종(種)의 장남으로 세종 17년(1435년) 태어났다. 세조 6년(1460년) 무과(武科)에 급제한 후 중시(重試)에 급제(及第)하였다. 성종 11년(1480년) 통정대부(通政大夫) 행 경흥도호부사(行慶興都護府使)를 거쳐 성종 14년(1483년) 영해부사(寧海府使)를 제수(除授)받았다. 성종 20년(1489년) 올적합(兀狄哈)의 침입을 방어하지 못하여 우후(虞候)에서 파직(罷職)되었으나 성종 22년(1491년) 절충장군(折衝將軍) 경상좌도수군 절도사(慶尙左道水軍節度使)로 삼았다. 연산군 3년(1497년) 제주목사(濟州牧使)로 재임 중 괴선 한 척을 포획한 군공(軍功)으로 봉천군(篷川君)으로 봉군(封君)되었다. 중종 1년(1506년) 졸(卒)하였다.
④ 정원운(鄭元耘)
증(贈) 가선대부호조참판(嘉善大夫戶曺叅判) 비(秠)와 지돈영부사(知敦寧府使)자(孜)의 따님인 여흥이씨(驪興李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사직(司直)을 지냈고 손자 대년(大年)이 이조판서(吏曹判書) 등 정승(政丞)의 반열(班列)에 올라 귀(貴)하게 되었기 때문에 사후(死後)에 자헌대부(資憲大夫) 호조판서(戶曹判書)를 증직(贈職)받았다. 온 마음을 쏟아 경전을 탐구하고 입신출세를 탐내지 않았다.
⑤ 정전(鄭荃)
자는 자원(子遠)이다. 증(贈) 자헌대부(資憲大夫) 호조판서(戶曹判書) 원운(元耘)과 사정(司正) 계손(繼孫)의 따님인 영양최씨(永陽崔氏) 사이에서 성종 6년(1475년) 태어났다. 연산군 4년(1498년) 식년(式年) 진사시(進士試)에 입격(入格)한 후 중종 4년(1509년)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다. 승문원(承文院) 정자(正字)·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을 거쳐 대교(待敎)로 승진하였다. 중종 8년(1513년) 졸(卒)하였다.
⑥ 정대년(鄭大年)
자는 경로(景老)이고 호는 사암(思菴)이다. 증(贈) 이조참판(吏曹參判) 전(荃)과 참판(參判) 극정(克正)의 따님 거창신씨(居昌愼氏) 사이에서 연산군 9년(1503년) 태어났다. 호조판서(戶曹判書)가 된 외숙(外叔) 공간공(恭簡公) 신거관(愼居寬)에게 공부를 배웠다. 중종 26년(1531년) 생원시에 입격(入格)하고 중종(中宗) 27년(1532년) 문과(文科)에 장원급제자(壯元及第者)가 되어 예빈시주부(禮賓寺主簿)에 제수되었다. 중종 30년(1535년) 지평(持平)을 시작으로 장령(掌令)·부교리(副校理)·집의(執義)·직제학(直提學)·홍문관전한(弘文館典翰)·승정원(承政院) 도승지(都承旨)에 이르렀다. 명종 2년(1547년)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시작으로 병조참의(兵曹參議)·승정원(承政院) 도승지(都承旨)·한성부(漢城府) 우윤(右尹)·경기관찰사(京畿觀察使)·호조참판(戶曹參判)·사헌부(司憲府) 대사헌(大司憲)·대호군(大護軍)·한성부(漢城府) 좌우윤(左右尹)·상호군(上護軍)을 거쳐 형조참판(刑曹參判)에 이르렀다. 선조 1년(1568년) 호조판서(戶曹判書)·이조판서(吏曹判書)를 거쳐 1572년 6월 우의정(右議政)에 제수되었다. 충성과 신의와 정직으로써 국사(國事)를 돌 본 고굉지신(股肱之臣)이자 청백리(淸白吏)이었다. 선조 11년(1578년) 졸(卒)하였다. 시호(諡號)는 충정(忠貞)이다.
⑦ 정언충(鄭彦忠)
자는 신숙(藎叔)이다. 증(贈) 형조참판(刑曹參判) 항(恒)과 선무랑(宣武郞) 북부참봉(北府參奉) 류광한(柳匡漢)의 따님 정부인(貞夫人) 문화류씨(文化柳氏)사이에서 명종 6년(1554년) 태어났다. 내암(來庵) 정인홍(鄭仁弘)의 문인(門人)이다. 선조 15년(1582년) 무과(武科)에 급제한 후 선조 18년(1585년) 수군만호(水軍萬戶)에 제수(除授)되었다. 선조 25년(1592년) 4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초계(草溪) 가장(假將)으로 임명되어 제1차 무계전투(茂溪戰鬪), 사원동(蛇院洞) 안언(安彦) 전투 등에서 전공을 세워 진해현감(鎭海縣監)·봉정대부(奉正大夫) 수(守) 군자감정(軍資監正)·창원부사(昌原府使)를 지냈다. 선조 30년(1597년)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전공으로 남원도호부사(南原都護府使)에 제수되었고 선무원종이등공신(宣武原從二等功臣)에 녹훈(錄勳)되었다. 광해군 7년(1615년) 졸(卒)하였다.
⑧ 정홍석(鄭弘錫)
자는 계응(季膺)이고 호는 운계(雲溪)이다. 장사랑(將仕郞) 치(墀)와 도사(都事) 수일(受一)의 따님인 진양하씨(晋陽河氏) 사이에서 선조 40년(1607년)에 태어났다. 치재(癡齋) 허명신(許命申)에게 수업(受業)하였다. 인조 20년(1642년) 식년(式年) 진사시(進士試)에 입격(入格)한 후 문학(文學)과 행의(行誼)로 영남의 명유(名儒)가 되었다. 인조 14년(1636년) 발생한 병자호란(丙子胡亂)에 이천봉(李天封)과 함께 창의(倡義)하였으며 운계정(雲溪亭)을 구축하여 후학 양성에 노력하였다. 현종 12년(1671년) 6월 9일 졸(卒)하였다.
⑨ 정석유(鄭錫儒)
자는 중진(仲珍)이며 호는 행은(行隱)이다. 진사(進士) 홍일(弘鎰)과 통제사(統制使) 유(瀏)의 따님인 평산신씨(平山申氏) 사이에서 숙종 15년(1689년) 태어났다.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의 문인이다. 영조 13년(1737년) 별시(別試) 문과(文科)에서 급제한 후 봉상시주부(奉常寺主簿)·양재찰방(良才察訪)·경기가도사(京畿假都事)를 지냈다. 학행(學行)과 문장(文章)이 세상에 드러났다. 영조 32년(1756년) 졸(卒)하였다.
(2) 근∙현대 인물
① 정경식(鄭京植) : 대구고등검찰청검사장, 헌법재판소 재판관
② 정순광(鄭淳光) : 성균관 유교교육원 교수
③ 정순훈(鄭淳勳) : 배재대학교총장
④ 정순성(鄭淳成) : 기술고시 합격, 특허청 특허심판원 심판장, 이사관
⑤ 정순삼(鄭淳三) : 사법시험 합격, 부장판사역임
⑥ 정순구(鄭淳九) : 행정고시합격
⑦ 정병환(鄭柄煥) : 제46회사법시험 합격, 변호사
⑧ 정유경(鄭諭暻) : 제51회사법시험 합격, 변호사
⑨ 정보환(鄭譜煥) : 해군사관학교, 해군대령
⑩ 정현욱(鄭現旭) : 삼성라이온즈 투수, 코치
⑪ 정향수(鄭香受) : 미MIT박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⑫ 정윤지(鄭允智) : 골프 아시안게임 은메달, KLPGA선수
⑬ 정재수(鄭在洙) : 고령군 부군수
⑭ 정규호(鄭圭鎬) : 고령군의원
 
 
자료제공 : 참판공파 후손 정효운(鄭孝雲)
집필 : 향토사학자 이동훈(李東勳)
정리 : 편집국장 최종동(崔鍾東)

구독 후원 하기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