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중별(門中別) 학맥(學脈) 고찰(考察)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획/특집

문중별(門中別) 학맥(學脈) 고찰(考察)

학문의 계보(系譜)인 학통(學統) 계승의 유형(類型)은 크게 구분하면 가학(家學), 친손(親孫), 외손(外孫)을 중심한 혈연관계(血緣關係), 지역적 인접성(隣接性)에 기반한 지연관계(地緣關係), 통혼(通婚)으로 인한 인척관계(姻戚關係)등으로 나눌 수 있다.
(1) 진주강씨(晋州姜氏)
① 정곡(靜谷) 강진양(姜晋陽)은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문인이다.
(2) 현풍곽씨(玄風郭氏)
① 예곡(禮谷) 곽율(郭)이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숙부(叔父) 정사성(鄭思誠)의 사위로서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종자형(從姉兄)이 되므로 인척관계(姻戚關係)가 성립되어 아들 만취당(晩翠堂) 곽영희(郭永禧), 손자 곽홍점(郭鴻漸), 증손자 매헌(梅軒) 곽수강(郭壽岡), 송담(松潭) 곽수진(郭壽)은 한강학파(寒岡學派)에 속하였다.  
② 퇴계학파(退溪學派)의 본간(本幹)이요 중추(中樞)인 학봉(鶴峰) 김성일(金誠一)의 학통(學統)을 경당(敬堂) 장흥효(張興孝)를 거쳐서 외손(外孫)인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이 이어받자  매헌(梅軒) 곽수강(郭壽岡), 송담(松潭) 곽수진(郭壽)의 아들인 월계(月溪) 곽유(郭)와 지분당(知分堂) 곽식(郭)이 그의 문하에서 수업하였다.
③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의 학통(學統)이 셋째 아들인 밀암(密庵) 이재(李栽)를 거쳐 외손인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에게 전해지자 정관재(靜觀齋) 곽기(郭基)가 그의 문하생이 되었다.
④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의 학통(學統)을 입재(立齋) 정종로(鄭宗魯)를 거쳐 고령지역의 학양(鶴陽) 박경가(朴慶家)에게 전해지자 월은(月隱) 곽보(郭堡)와 죽은(竹隱) 곽훈(郭壎)이 그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⑤ 입재(立齋) 정종로(鄭宗魯)를 거친 퇴계의 성리학이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를 거쳐 그 조카인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에게로 이어지자 지역적 인접성(隣接性)에 기반하여 숭양(崇陽) 곽경근(郭暻根)과 곽수원(郭守元)은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의 문인이 되었다.
⑥ 태허정(太虛亭) 곽홍지(郭弘址)의 현손(玄孫)인 곽일주(郭日柱)는 동향(同鄕)에 살았던 지연관계(地緣關係)로 청천(青泉) 신유한(申維翰)의 문인이 되었다.
(3) 경주김씨(慶州金氏)
① 기재(棄齋) 김수옹(金守雍)은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성리학(性理學)을 강구(講究)하였다고 한다.
② 송강(松岡) 김성하(金聲夏)는 고종 26년(1889년)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 선생이 고령군 쌍림면 반룡동 소재 미숭산방(美崇山房)에 머물면서 학도(學徒)를 창솔(倡率)할 때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 선생의 문인이 되었다.
③ 영주(令州) 김상덕(金相德)은 동향(同鄕인 홍와(弘窩) 이두훈(李斗勳)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4) 김해김씨(金海金氏)
금창(琴窓) 김응감(金應鑑), 매오(梅塢) 김응현(金應鉉) 사촌 형제는 율곡(栗谷) 이이(李珥)에게서 성리학(性理學)을 전수받아 율곡학파(栗谷學派) 또는 기호(畿湖) 유학(儒學)의 정맥(正脈)을 이어 ‘동방(東方) 예학(禮學)의 종장(宗匠)’으로 불리는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으로부터 예학(禮學)을 전수(傳受)받았다.
(5) 서흥김씨(瑞興金氏)
① 응헌(凝軒) 김응성(金應成)이 동방오현(東方五賢) 중 수현(首賢)인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의 현손(玄孫)이고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아버지 정사중(鄭思中)이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의 외증손인 관계로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하에 출입하게 되었다.
(6) 일선김씨(一善金氏)
① 한계(寒溪) 오선기(吳善基)가 김성률(金聲律)의 외증손(外曾孫)이 되므로 인척관계에 있는 합가1리 개실마을의 매암(梅庵) 김시사(金是泗), 상위당(相違堂) 김세명(金世鳴)이 그의 문인이 되었다.
② 성호(星湖) 이익(李瀷) → 순암(順菴) 안정복(安鼎福) → 하려(下廬) 황덕길(黃德吉)로 연결되는 학맥을 이은 성재(性齋) 허전(許傳)이 영남 전체에 큰 학풍을 일으켰을 때 지연관계(地緣關係)로 용암(慵菴) 김계묵(金啓默), 창애(蒼厓) 김증(金增), 태양(泰陽) 김헌(金憲) 등이 그의 문인이 되었다.
(7) 수성나씨(壽城羅氏)
① 지역적 인접성(隣接性)에 기반하여 죽림재(竹林齋) 나경(羅璟), 신암(愼庵) 나이도(羅以道)는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이 되었다.
② 죽와(竹窩) 나찬기(羅燦基)는 동향(同鄕)인 만구(晩求) 이종기(李種杞)의 문인이 되었다.
(8) 의령남씨(宜寧南氏)
① 유석(石) 남형우(南亨祐)는 동향(同鄕인 홍와(弘窩) 이두훈(李斗勳)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9) 성주도씨(星州都氏) 
① 지역적 인접성(隣接性)에 기반하여 일회헌(一悔軒) 도우룡(都右龍)이 사미헌(四未軒) 장복추(張福樞)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아들 서암(棲岩) 도상주(都相湊), 서산(棲山) 도상윤(都相尹)도 대(代)를 이어 그의 문인이 되었다. 
(10) 고령박씨(高靈朴氏)
① 지연관계(地緣關係)로 죽연(竹淵) 박윤(朴潤), 낙낙당(樂樂堂) 박택(朴澤) 형제가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하에서 수업하였다.
② 선대(先代)의 학통(學統)을 이은 양죽당(養竹堂) 박정완(朴廷琬), 학암(鶴巖) 박정번(朴廷璠) 형제가 내암(來菴) 정인홍(鄭仁弘)의 문인이 된 이후로 아들 소고(笑皐) 박광선(朴光先), 매헌(梅軒) 박창선(朴昌先)에 이어 손자 이우헌(李憂軒) 박종주(朴宗冑), 남애(南厓) 박종윤(朴宗胤)이 그의 학맥(學脈)을 이었다.
③ 남고(南皐) 박응형(朴應衡)은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의 문인이고 한와와(閑臥窩) 박세정(朴世貞)은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의 문인이며 지촌(芝村) 박이곤(朴履坤)은 청천(靑泉) 신유한(申維翰)의 문인이고 우재(愚齋) 박종원(朴鍾源)은 정재(定齋) 유치명(柳致明)의 문인이며 학양(鶴陽) 박경가(朴慶家)는 입재(立齋) 정종로(鄭宗魯) 문인이다.
④ 산천자(山泉子) 박태원(朴太源)은 아버지 학양(鶴陽) 박경가(朴慶家)의 가학(家學)을 이어받았고 치암(恥庵) 박승렬(朴升烈)은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의 문인이며 북암(北庵) 박영기(朴永祺)는 간재(艮齋) 전우(田愚)의 문인이다.
(11) 밀양박씨(密陽朴氏) 
① 미강(彌崗) 박세검(朴世儉)은 낙천(洛川) 배신(裵紳)의 문인이고 차옹(槎翁) 박명윤(朴明胤)은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이다.
② 운석당(雲石堂) 박재근(朴在根)은 만구(晩求) 이종기(李種杞)의 문인이다.
(12) 순천박씨(順天朴氏)
① 용담(龍潭) 박이장(朴而章)은 남명(南冥) 조식(曺植)과 소재(蘇齋) 노수신(盧守愼)의 문인이었고 젊은 시절 동향(同鄕)의 내암(萊菴) 정인홍(鄭仁弘) 문하(門下)에서 수업(修業)을 하였으나 나중에는 정치적 노선을 달리하였으며 아들 기옹(畸翁) 박공구(朴羾衢)는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이다.
(13) 성산배씨(星山裵氏) 
① 낙천(洛川) 배신(裵紳)은 남명(南冥) 조식(曹植)과 퇴계(退溪) 이황(李滉) 양문(兩門)에서 수학하였고 명곡(明谷) 배세일(裵世逸)은 심원당(心遠堂) 이육(李堉)의 문인이며 성심재(省心齋) 배진택(裵振澤)은 미수(眉叟) 허목(許穆)의 문인이다.
② 벽와(僻窩) 배진조(裵震朝)는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의 문인이고 야와(倻窩) 배상희(裵相希)는 성암(誠菴) 신상선(申相)의 문인이며 경산(敬山) 배종환(裵鍾煥)은 만구(晩求) 이종기(李種杞)의 문인이고 의암(宜庵) 배병한(裵炳翰)은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의 문인이다.
(14) 초계변씨(草溪卞氏)
① 일파(一波) 변희용(卞熙瑢)은 동향(同鄕인 홍와(弘窩) 이두훈(李斗勳)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5) 평산신씨(平山申氏)
① 청천(青泉) 신유한(申維翰)은 학맥(學脈)의 연원(淵源)이 불분명하나 경전(經典)과 역사서(歷史書)에 통달한 어머니 고령김씨(高靈金氏)로부터 가학(家學)을 전수(傳受)받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② 성암(誠菴) 신상선(申相)은 고헌(顧軒) 정내석(鄭來錫)의 문인이다.
(16) 고창오씨(高敞吳氏)
① 한계(寒溪) 오선기(吳善基)는 단계(丹溪) 장용우(張龍遇)와 임곡(林谷) 임진부(林眞) 선생 문하에서 학업을 닦았다. 오중후(吳仲垕)는 청천(青泉) 신유한(申維翰)의 문인이다.
② 오원순(吳元淳)은 학양(鶴陽) 박경가(朴慶家)의 문인이고 매사(梅史) 오인순(吳寅淳)은 만구(晩求) 이종기(李種杞)의 문인이며 아계(鵝溪) 오우상(吳瑀相)은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의 문인이고 숭강(崇岡) 오정상(吳鼎相)은 송강(松岡) 김성하(金聲夏)의 문인이다.
(17) 광산이씨(光山李氏)
① 한강(寒岡) 정구(鄭逑)가 권지훈련원봉사(權知訓練院奉事)를 지낸 이수(李樹)의 사위가 됨으로서 그의 손자인 고탄(高灘) 이로(李), 광거재(廣居齋) 이당(李), 동호(東湖) 이서(李), 슬곡(瑟谷) 이난귀(李蘭貴), 양촌(陽村) 이난미(李蘭美)와 증손자인 낙촌(洛村) 이명용(李命龍), 불일헌(拂日軒) 이명기(李命夔)가 모두 고모부인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이 되었다.
② 농암(聾巖) 이광언(李光彦)은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이었던 미수(眉叟) 허목(許穆)에게 수학하였다. 참고적으로 미수(眉叟) 허목(許穆)은 동호(東湖) 이서(李)의 사위었던 묵재(默齋) 허적(許積)의 친척이다.
③ 묵암(默菴) 이정운(李楨運), 소암(小菴) 이종희(李宗熙), 평와(坪窩) 이심학(李心學)은 정재(定齋) 유치명(柳致明)의 문인이고 행와(行窩) 이사훈(李師勛)은 청천(青泉) 신유한(申維翰)의 문인이며 만회(晩悔) 이병회(李柄回)는 만구(晩求) 이종기(李種杞)의 문인이다.
(18) 경주이씨(慶州李氏) 
① 경주이씨(慶州李氏) 오촌공파(梧村公派) 고령 입향조(入鄕祖) 죽창(竹窓) 이성일(李聖一)의 아들 돈와(遯窩) 이사유(李思遊)와 손자 수백당(守白堂) 이회근(李晦根)은 모두 동향인(同鄕人) 청천(青泉) 신유한(申維翰)의 문인이다.
(19) 성산이씨(星山李氏)
① 성산이씨(星山李氏) 인주공파(仁州公派) 고령 입향조(入鄕祖) 송오(松塢) 이사징(李士澄)은 산화(山花) 이견간(李堅幹)의 문인이다.
② 죽포(竹圃) 이현룡(李見龍), 국포(菊圃) 이문룡(李文龍), 매포(梅圃) 이택룡(李澤龍) 등 3형제는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이고 매헌(梅軒) 이유석(李惟碩)은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의 문인이다.
③ 관란(觀瀾) 이기석(李基錫)은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의 문인이고 죽옹(竹翁) 이해린(李海麟), 석주(石洲) 이준(李俊)은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의 문인이며 금사(琴史) 이주(李珠), 옥서(玉西) 이영훈(李英勳)은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의 문인이다.   
④ 손암거사(遜菴居士) 이인광(李寅光), 성와(省窩) 이인재(李寅梓)는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의 문인이고 회산(晦山) 이방환(李邦桓), 도계(道溪) 이기락(李基洛)은 홍와(弘窩) 이두훈(李斗勳)의 문인이다.
⑤ 미은(薇隱) 이규환(李圭桓)은 고헌(顧軒) 정내석(鄭來錫)의 문인이고 진와(進窩) 이헌주(李憲柱)는 중재(重齋) 김황(金榥)의 문인이다.
(20) 성주이씨(星州李氏)
① 이배의(李配義)는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이고 봉강(鳳岡) 이진의(李震義)는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의 문인이다.
(21) 여주이씨(驪州李氏)
① 죽계(竹溪) 이신문(李信文)은 방촌(厖村) 황희(黃喜)의 문인이고 죽재(竹齋) 이천익(李天益)은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이다.
② 화계거사(花溪居士) 이호봉(李鎬鳳)은 만구(晩求) 이종기(李種杞) 문인이다.
③ 석년(石年) 이정우(李正宇)는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의 문인이고 가산(可山) 이호창(李鎬昌), 석조(石鳥) 이홍직(李洪直)은 홍와(弘窩) 이두훈(李斗勳)의 문인이며 율산(栗山) 이규원(李圭元)은 성와(省窩) 이인재(李寅梓) 문인이다.
(22) 전의이씨(全義李氏)
① 다포(茶圃) 이지화(李之華)는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의 문인이고 아들 장육당(藏六堂) 이윤(李玧)은 모당(慕堂) 손처눌(孫處訥)의 문인이다.
② 벽재(躄齋) 이규운(李奎運)은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의 문인이고 기재(跂齋) 이재항(李在恒)은 입재(立齋) 정종로(鄭宗魯)의 문인이다. 
③ 만구(晩求) 이종기(李種杞)는 성재(性齋)의 허전(許傳)의 문인이고 다곡(茶谷) 이기로(李基魯), 이영로(李泳魯)는 만구(晩求) 이종기(李種杞)의 문인이다.
(23) 전주이씨(全州李氏) 
① 심원당(心遠堂) 이육(李堉)과 산거재(山居齋) 이숙(李) 형제는 한강(寒岡) 정구(鄭逑)와 동강(東岡) 김우옹(金宇顒) 선생 양문(兩門)에서 수업하였다.
(24) 파평윤씨(坡平尹氏)
① 귀계(歸溪) 윤승래(尹升來)는 한수재(寒水齋) 권상하(權尙夏)의 문인이고 약우(若愚) 윤조언(尹朝彦)은 단암(丹巖) 민진원(閔鎭遠)의 문인이다.
② 윤면정(尹勉貞), 윤수채(尹守采)는 역천(櫟泉) 송명흠(宋明欽)의 문인이고  윤면주(尹勉周), 윤수직(尹守稷)은 병계(屛溪) 윤봉구(尹鳳九)의 문인이며 윤양식(尹亮植)은 사미헌(四未軒) 장복추(張福樞)의 문인이고 윤최대(尹最大)는 성담(性潭) 송환기(宋煥箕)의 문인이다.
(25) 창녕조씨(昌寧曺氏)
① 봉강(鳳岡) 조상(曺塽)은 간재(艮齋) 전우(田愚)의 문인이고 학산(學山) 조을환(曺乙煥)은 봉강(鳳岡) 조상(曺塽)과 임제(臨齋) 서찬규(徐贊奎)의 고족제자(高足弟子)인 미강(渼江) 박승동(朴昇東) 양문(兩門)에서 수학하였다.
② 조낙승(曺洛承), 청계(聽溪) 조병직(曺秉直), 겸재(謙齋) 조정환(曺廷煥)은 성암(誠菴) 신상선(申相)의 문인이다.
(26) 성산전씨(星山全氏)
① 지북헌(芝北軒) 전광흡(全光潝)은 송천(松泉) 박문국(朴文國)과 학양(鶴陽) 박경가(朴慶家)의 양문(兩門)에서 수학(受學)하였다.
② 송석(松石) 전석오(全錫五), 추택(秋澤) 전택규(全宅奎)는 강재(剛齋) 송치규(宋穉圭)의 문인이고 오당(悟堂) 전용소(全鏞韶)는 시암(是菴) 이직현(李直鉉)의 문인이다.
(27) 동래정씨(東萊鄭氏)
① 행은(行隱) 정석유(鄭錫儒)는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의 문인이고 운계(雲溪) 정홍석(鄭弘錫)은 치재(癡齋) 허명신(許命申)의 문인이며 음연(陰淵) 정회(鄭澮)는 숙부(叔父)인 운계(雲溪) 정홍석(鄭弘錫)의 문인이다.
(28) 진양정씨(晉陽鄭氏)
① 월담(月潭) 정사현(鄭師賢)이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처남인 관계로 아들 정서(鄭序), 정응(鄭應), 정하(鄭廈), 손자 정유례(鄭有禮)는 혈연관계(血緣關係)로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이다.
② 과묵당(寡堂) 정원섭(鄭元燮)은 단암(丹岩) 민진원(閔鎭遠)의 문인이며 삼천(三川) 정만중(鄭萬中)은 고산(鼓山) 임헌회(任憲晦)의 문인이다.
(29) 경주최씨(慶州崔氏)
① 두와(蠹窩) 최흥벽(崔興璧)은 족형(族兄) 백불암(百弗庵) 최흥원(崔興遠)과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의 문인이고 아들 최정진(崔廷鎭)은 입재(立齋) 정종로(鄭宗魯)의 문인이다.
② 고재(古齋) 최곤술(崔坤述)은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의 문인이다.
(30) 양천최씨(陽川崔氏)
① 학곡(鶴谷) 최원(崔源), 매헌(梅軒) 최여설(崔汝契), 기옹(畸翁) 최몽귀(崔夢龜), 회와(悔窩) 최몽룡(崔夢龍)은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이다.
② 월계(月溪) 최형망(崔衡望)은 매헌(梅軒) 곽수강(郭壽崗)의 문인이며 향오(香塢) 최상원(崔尙遠), 송애(松厓) 최호문(崔虎文) 부자(父子)는 입재(立齋) 정종로(鄭宗魯)의 문인이고 송고(松皐) 최우문(崔宇文), 노양(魯陽) 최영문(崔韺文)은 학양(鶴陽) 박경가(朴慶家)의 문인이다.
③ 학남(鶴南) 최승협(崔升協)은 성재(性齋) 허전(許傳)의 문인이고 율봉(栗峯) 최순곤(崔淳崑)은 만구(晩求) 이종기(李種杞) 문인이며 요암(饒庵) 최인석(崔寅錫)은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의 문인이고 우당(愚堂) 최순철(崔淳喆)은 공산(恭山) 송준필(宋浚弼) 문인이다. 
(31) 영천최씨(永川崔氏)
① 월주(月洲) 최진화(崔震華)는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의 문인이다.

 

일선김씨 도연재.JPG

<일선김씨 도연재>

 

집필 : 향토사학자 이동훈(李東勳)
정리 : 최종동 편집국장

구독 후원 하기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