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이씨(星州李氏) 밀직공파(密直公派)·문열공파(文烈公派)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획/특집

성주이씨(星州李氏) 밀직공파(密直公派)·문열공파(文烈公派)

본지는 ‘고령지역 세거성씨(世居姓氏) 연원(淵源)을 찾아서’를 격주로 기획 연재한다. 씨족연원(氏族淵源), 현조(顯祖), 고령입향(高靈入鄕) 내력 및 시기, 입향조(入鄕祖) 이 후 역대 인물 등을 문헌적 고증(考證)을 근거로 밝힘으로써 각 문중 고유의 씨족연원(氏族淵源), 열조(烈祖)들의 위업(偉業), 올곧은 정신 및 문화유산(文化遺産)을 이해하는 계기를 마련코자 하오니 관심 있는 문중들의 많은 참여를 바라며, 이번호에는 성주이씨(星州李氏) 밀직공파(密直公派)·문열공파(文烈公派)를 소개한다.

1. 씨족연원(氏族淵源)
 
(1) 성주이씨(星州李氏) 시조(始祖) 이순유(李純由)


뒤에 휘(諱)를 극신(克臣)으로 고쳤으며 일찍이 그 아우 돈유(敦由)와 더불어 신라 조정에서 벼슬하여 모두 경상(卿相 : 재상)에 이르렀다. 고려조(高麗朝)에서 자기의 명(命)에 따르지 않는 사람들을 폐고(廢錮 : 종신토록 관리가 될 수 없게 함)시켜 주군(州郡)에 분산배치(分散配置)하여 이역(吏役 : 아전)으로 편적(編籍 : 호적에 편입시키는 것)했었으니 공의 후예는 경산부(京山府 : 지금 성주)로 옮겨져 호장(戶長)을 지냈고 결국 이 고을로 관향(貫鄕)을 삼게 되었다.


(2) 중시조(中始祖) 이장경(李長庚)
고려 중엽에 향직(鄕職)인 안일호장정위(安逸戶長正位)를 지냈다. 아들 오형제 즉 백년(百年). 천년(千年). 만년(萬年). 억년(億年). 조년(兆年) 모두 문과(文科)에 급제(及第)하여 명성을 떨치자 삼중대광 좌시중 흥안부원군 도첨의정승 지전리사사 상호군 경산부원군(三重大匡 左侍中 興安府院君 都僉議政丞 知典理司事 上護軍 京山府院君)에 추증(追贈)하였다. 손자 승경(承慶)이 원(元)나라에 요양성참지정사(遼陽省參知政事)를 지내면서 공을 세워 황제(皇帝)가 선칙(宣勅)으로 농서군공(隴西郡公)의 작위를 추봉(追封)하였으므로 농서이씨(隴西李氏)라고도 하였는데 벌족(閥族)으로 흥왕(興旺)하자 고려 충렬왕 34년(1308년)성주목(星州牧)으로 승격된 지명(地名)에 따라 성주이씨(星州李氏)라 칭하게 되었다. 후손들은 공(公)을 중흥시조(中興始祖)로 모시고 있다.

(註釋1) 선칙(宣勅)
임금이 특정인에게 훈계하거나 알릴 내용을 적은 글이나 문서인 칙서(勅書)를 내리는 것, 또는 칙서를 전달하는 것을 가리킨다.
(註釋2) 안일호장(安逸戶長)
고려 시대에, 만 70세에 이른 호장은 퇴역(退役)하게 하였고, 재직 때 받던 직전(職田)의 절반을 주도록 규정하였으며 명예직이다.


(3) 분파(分派)
경무공파(景武公派), 고은공파(孤隱公派), 광평군파(廣平君派), 도은공파(陶隱公派), 도정공파(都正公派), 동지공파(同知公派), 문경공파(文景公派), 문과공파(文科公派) 문열공파(文烈公派), 밀직공파(密直公派), 봉예공파(奉禮公派), 시중공파(侍中公派)
유수공파(留守公派), 장절공파(章節公派), 참지공파(參知公派), 참판공파(參判公派)
첨추공파(僉樞公派), 초은공파(樵隱公派), 총제공파(摠制公派), 판서공파(判書公派)
판윤공파(判尹公派), 평간공파(平簡公派) 등 22개파로 분파되었다.


(4) 성주이씨(星州李氏) 관내 세거(世居) 현황
① 『2000년 인구주택총조사 성씨 및 본관보고서』에 의하면 고령군 관내에 성주이씨(星州李氏)는 329가구 870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② 밀직공파(密直公派) 이백년(李百年)의 후손은 대가야읍 일원, 성산면 사부리, 박곡리, 용소리, 운수면 팔산리, 개진면 생리, 우곡면 봉산리 등에 문열공파(文烈公派) 이조년(李兆年)의 후손 중 승암공(勝巖公) 이인임(李仁任) 직계후손들이 성산면 상용리, 개진면 반운리 등에 산거(散居)하고 있다.

2. 현조(顯祖)
(1) 고려시대
① 이백년(李百年)
호는 묵옹(默翁)이며 안일호장정위(安逸戶長正位) 장경(長庚)과 강양군(江陽君) 약(若)의 따님인 합천군부인(陜川郡夫人) 이씨(李氏)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충렬왕 11년(1285년) 문과에 급제한 후 봉익대부(奉翊大夫) 밀직사사(密直司使)를 지냈다.
② 이조년(李兆年)
자는 원로(元老)이고 호는 매운당(梅雲堂)이다. 안일호장정위(安逸戶長正位) 장경(長庚)과 강양군(江陽君) 약(若)의 따님인 합천군부인(陜川郡夫人) 이씨(李氏) 사이에서 다섯 번째 아들로 원종 10년(1269년) 태어났다. 회헌(晦軒) 안유(安裕)의 문인으로 문과에 급제한 후 안남서기(安南書記)·예빈내급사(禮賓內給事)·지합주사(知陜州事)·비서랑(祕書郞) 등을 역임하였다. 충렬왕 32년(1306년) 비서승(祕書丞) 재임 중, 왕유소(王惟紹) 등이 충렬왕 부자를 이간시키고 서흥후(瑞興侯) 왕전(王琠)을 충렬왕의 후계로 삼으려 했다. 공은 이에 가담하지 않고 최진(崔晉)과 충렬왕을 보필하였으나 결국 누명을 쓰고 사건에 연루되어 귀양을 갔다. 그후 충숙왕 17년(1330년) 감찰장령(監察掌令)·전리총랑(典理摠郞)을 거쳐 군부판서(軍簿判書)에 승진, 수차례 원나라에 다녀왔다. 충혜왕 1년(1340년) 정당문학(政堂文學)·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이 되었으며 충혜왕 3년(1342년) 성산군(星山君)에 봉해졌다. 후에 성근익찬경절공신(誠勤翊贊勁節功臣)이 되었다. 충혜왕 4년(1343년) 졸(卒)하였다. 공민왕 때 성산후(星山侯)에 추증(追贈), 충혜왕의 묘정(廟庭)에 배향되었다. 시문에 뛰어났으며, 시조 이화에 월백하고로 시작하는 유명한 시(詩) 다정가(多情歌)를 남겼다.
⑥ 이숭인(李崇仁)
자는 자안(子安)이고 호는 도은(陶隱)이다. 대호군(大護軍) 원구(元具)와 소윤(少尹) 경덕(敬德)의 따님인 정부인(貞夫人) 언양김씨(彦陽金氏) 사이에서 충목왕 3년(1347년) 태어났다. 공민왕 11년(1362년) 문과에 급제한 후 숙옹부승(肅雍府丞)·장흥고사 겸 진덕박사(長興庫使 兼 進德博士)·예의산랑(禮儀散郎)·예문응교(藝文應敎)·문하사인(門下舍人)을 지냈다. 우왕 때 김구용(金九容)·정도전(鄭道傳) 등과 함께 북원(北元)의 사신을 돌려보낼 것을 주청하다가 한때 유배되었다. 그후 밀직제학(密直提學)이 되어, 정몽주(鄭夢周)와 함께 실록(實錄)을 편수하고 동지사사(同知司事)에 전임하였으나 친명(親明)·친원(親元) 양쪽의 모함을 받으며 여러 옥사(獄事)를 겪었다. 공양왕 때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동지춘추관사(同知春秋館事)를 지냈다. 1392년 정도전(鄭道傳)의 심복 황거정(黃居正)에게 유배지에서 장살(杖殺)되었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목은(牧隱) 이색(李穡),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와 함께 고려의 삼은(三隱)으로 일컬어진다.

 

성주이씨율수재, 성산면상용리운교길14.JPG

성주이씨 율수재(성산면 상용리 운교길14)

 


4. 입향조 이후 역대 주요인물


(1) 고려시대


① 이포(李褒)
자는 상가(商加)이며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 조년(兆年)과 밀직(密直) 윤의(允誼)의 따님인 팔계군부인정씨(八溪郡夫人鄭氏)사이에서 충렬왕 13년(1287년) 장남으로 태어났다. 충혜왕 때(1323년) 문과에 급제하였고 검교문하시중(檢校門下侍中) 겸 판선부사(判選部事)를 역임한 후 도첨의평리(都僉議評理)를 지내다가 나이가 많아 은퇴하였다. 왕이 친히 공의 초상화를 그려서 공의 둘째 아들인 광평부원군(廣平府院君) 수시중(守侍中) 인임(仁任)에게 하사 하셨다. 공민왕 22년(1373년) 4월 25일에 졸(卒)하니 시호는 경원(敬元)이다. 조선 태조가 성산군(星山君)에 추봉(追封)하였다.
② 이인복(李仁復)
자는 극례(克禮)이고 호는 초은(樵隱)이며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검교시중(檢校侍中) 포(褒)와 경주군부인설씨(慶州郡夫人薛氏) 사이에서 충렬왕 34년(1308년)에 장남으로 태어났다. 백이정(白正)의 문인이다. 충숙왕 13년(1326년) 문과에 급제한 후, 복주사록(福州司錄)·춘추공봉(春秋供奉)을 역임하였다. 충혜왕 3년(1342년) 기거사인(起居舍人)으로 원나라에 가서 제과(制科)에 급제, 대령로금주판관(大寧路錦州判官)의 벼슬을 받고 돌아와 기거주(起居注)가 되었다. 그후 우대언(右代言)·밀직제학(密直提學)·삼사좌사(三司左使)를 거쳐 원나라의 정동행성도사(征東行省都事)가 되었다. 1354년 정당문학 겸 감찰대부(政堂文學兼監察大夫)가 되고, 성산군(星山君)에 봉해졌다. 1356년 사은사(謝恩使)로 원나라에 다녀왔다. 1359년 수사공(守司空)·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어사대부(御史大夫)·중서정참지사(中書政參知事)·개성부판사(開城府判事)·첨의평리(僉議評理)·삼사우사(三司右使)를 지냈다. 1364년 찬성사(贊成事)에 올라 단성좌리공신(端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왕에게 신돈(辛旽)을 멀리하도록 간했다가 한때 파직되었다. 이듬해 흥안부원군(興安府院君)에 진봉(進封)돠었고, 이어 삼사판사(三司判事)를 거쳐 춘추관감사(春秋館監事) 때 《금경록(金鏡錄)》을 편수하고, 1373년 검교시중(檢校侍中)이 되었다. 우왕 때 충정왕의 묘정(廟庭)에 배향되었다. 문집으로《초은집(樵隱集)》이 있다.
③ 이인임(李仁任)
자는 자중(子重)이며 호는 승암(勝岩)이다. 검교시중(檢校侍中) 포(褒)와 경주군부인설씨(慶州郡夫人薛氏) 사이에서 충선왕 4년(1312년)에 차남으로 태어났다. 처음 문음(門蔭)으로 전객시승(典客寺丞)이 된 후 전법총랑(典法摠郎)을 거쳐 공민왕 7년(1358년)에 좌부승선(左副承宣)이 되었다. 공민왕 8년(1359년) 서경존무사(西京存撫使) 때 침입한 홍건적(紅巾賊)을 격퇴하여 2등공신에 책록(策錄)되고, 2차 침입 때는 개경을 탈환하여 1등공신에 책록되었다. 1362년 개성부판사(開城府判事)에서 서북면도지휘사(西北面都指揮使)를 거쳐 첨의평리(僉議評理)가 되고, 1364년 서북면순문사 겸 평양윤(西北面巡問使 兼 平壤尹) 때 최유(崔濡) 등이 덕흥군(德興君)을 내세워 고려에 쳐들어오자 격퇴하였다. 이듬해 삼사우사(三司右使)·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가 되고 순성동덕보리공신(純誠同德輔理功臣)의 호를 받았다. 1368년 좌시중(左侍中)을 거쳐 이듬해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이 되고, 그 해 서북면도통사(西北面都統使)가 되어 원나라의 동녕부(東寧府)를 정벌하고, 광평부원군(廣平府院君)에 책봉되었다. 1374년 공민왕이 살해되어 후사(後嗣) 문제가 일어나자 우왕(禑王)을 추대했다. 1386년 좌시중(左侍中)이 되었다가 노환으로 사직하였고, 1388년 최영(崔瑩)·이성계(李成桂) 등에 의해 경산부(京山府) 즉 고령군 덕곡면 가륜리 신율(新栗)로 귀양왔다가 1388년 6월에 졸(卒)하였다.
③ 이인민(李仁敏)
호는 모은(慕隱)이며 검교시중(檢校侍中) 포(褒)와 경주군부인설씨(慶州郡夫人薛氏) 사이에서 충선왕 17년(1330년)에 여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공민왕 9년(1360년) 문과에 급제한 후 우왕 9년(1383년) 정당문학(政堂文學)으로 동지공거(同知貢擧)가 되어 과거를 관장하였으며, 문하평리 겸 대제학(門下評理兼大提學)에 올랐다. 공양왕 4년(1392년) 겸밀직사사 판개성부사(兼密直司事 判開城府事)를 역임하였다. 아들 이직(李稷)이 개국공신(開國功臣)·좌명공신(佐命功臣)이 되어 태조 때에 성산부원군(星山府院君)에 추봉(追封)되었으며, 추충익대보조공신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 겸 경연 판이조사 감춘추관사(推忠翊戴補助功臣 大匡輔國崇祿大夫 議政府領議政 兼 經筵 判吏曹事 監春秋館事)에 추증되었다. 태조 2년(1393년) 졸(卒)하였다.


(2) 조선시대


① 이직(李稷)
자는 우정(虞庭)이고 호는 형재(亨齋)이다. 문하평리(門下評理) 인민(仁敏)과 판개성윤양평공(判開城尹良平公) 승서(承緖)의 따님인 증정부인(贈貞夫人) 복주진씨(福州陳氏) 사이에서 공민왕 11년(1362년) 태어났다. 우왕 3년(1377년) 문과에 급제해 경순부주부(慶順府注簿)에 제수되고, 사헌지평(司憲持平)·성균사예(成均司藝)·전교부령(典校副令)·종부영(宗簿令)·밀직사우부대언(密直司右副代言) 등을 거쳐 공양왕 때 예문제학(藝文提學)을 지냈다. 1392년에 이성계(李成桂) 추대에 참여해 지신사(知申事)로서 개국공신 3등이 되고 성산군(星山君)에 봉해졌다. 이듬해 중추원도승지(中樞院都承旨)·중추원학사(中樞院學士)로서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태조 6년(1397년) 대사헌(大司憲)을 지내고, 서북면도순문찰리사(西北面都巡問察理使)·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삼사좌사(三司左使)·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를 역임하였다. 정종 2년(1400년) 제2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을 도와 좌명공신(佐命功臣) 4등이 되었다. 1402년 대제학(大提學)을 거쳐, 이듬해 판사평부사(判司評府事)로서 왕명을 받아 주자소(鑄字所)를 설치, 동활자인 계미자(癸未字)를 만들었다. 1405년 이조판서(吏曹判書)가 된후 1412년 성산부원군(星山府院君)으로 진봉(進封)되었고, 그후 우의정(右議政)·영의정(領議政)·좌의정(左議政)에 제수되었다. 세종 13년(1431년) 졸(卒)하였다. 시호는 문경(文景)이다.
② 이수인(李守認)
자는 자유(子有)이고 호는 노암(魯菴)이다. 처사(處士) 주(舟)와 익태(益泰)의 따님인 의성김씨(義城金氏) 사이에서 선조 12년(1584년) 태어났다. 인조 12년(1634년)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승사랑(承仕郞)의 품계를 받고 사천훈도(泗川訓導)에 제수(除授)되었다. 인조 15년(1637년) ‘삼전도 강화조약(三田渡 講和條約)’에 충분(忠憤)을 품은 마음을 노래하고 스스로 사천훈도를 사직하고 고향으로 돌아와 모옥(茅屋)을 짓고서 고결한 지조를 지키고 학문을 돈독히 하였다. 다시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국화를 먹고 독서를 하면서 늙음을 잊었다. 효종 3년(1652년) 졸(卒)하였다. 후손들이 1920년 조상의 덕을 이어 스스로 자신을 갈고 닦는다는 ‘율수권덕(聿修厥德)’의 의미에서 율수재(聿修齋)라 편액(扁額)한 재사(齋舍)를 건립하였다.
③ 이진의(李震義)
자는 동언(東彦)이고 호는 봉강(鳳岡)이다. 유생(儒生) 평한(平漢)과 의성김씨(義城金氏) 사이에서 영조 13년(1737년) 1월 2일 태어났다. 퇴계의 학문을 정통으로 계승한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 선생에게 수학(受學)하였다. 학문이 뛰어나고 넓었으며 학문을 연구하는 것이 곧고 발랐으며 고상(高尙)한 마음과 뜻을 임천(林泉)에 두었다. 유고(遺稿)가 있다. 졸년(卒年)은 미상(未詳)이다.


(3) 근·현대인물


① 이주계(李周啓) : 부산지방전매청 차장
② 이상길(李相吉) : 대구광역시 행정부시장, 행정안전부 지방재정정책관
③ 이지현(李知炫) : 행정고시 합격, 기획재정부 서기관
④ 이남지(李男智) : 고령군청 재무과장, 성산면장
⑤ 이양호(李洋鎬) : 대구광역시 중구청 주민생활지원국장
⑥ 이영헌(李泳憲) : 대구광역시 사무관
⑦ 이준석(李俊錫) : 대구지방검찰청 검사
⑧ 이길용(李吉容) : 경북전문대 교수, 신문기자, 한국기자협회 경북지부장
⑨ 이하석(李河石) : 시인, 영남일보 논설실장, 대구문학관 관장
⑩ 이충곤(李忠坤) : 에스엘그룹 회장, 대구상공회의소 부회장
⑪ 이난호(李蘭鎬) : 대한상이군경회 대구시지부장
⑫ 이진용(李震容) : 법무사, 법학박사, 담수회 운영위원장, 경운대 교수
⑬ 이용학(李龍鶴) : 고령 및 영천 교육장
⑭ 이기범(李箕範) : 한학자
⑮ 이경민(李庚珉) : 경북대 의대 교수
⑯ 이지민(李知珉) : 서울대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연구교수
⑰ 이승민(李承珉) : 대통령직속 경제력 강화위원회 연구원, 한국보건산업 진흥원 연구원

구독 후원 하기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