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대보름의 유래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피니언

​          최종동 편집국장

음력 1월 15일을 대보름이라고 한다. 예로부터 대보름 하루 전날인 14일을 작은 보름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정월대보름은 한국의 대표적인 세시 명절의 하나로 전통적인 농경사회였던 우리나라에서는 농사의 시작일이라 여겨 매우 큰 명절로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음식으로는 찹쌀과 밤, 대추, 꿀 등을 넣어 약식을 만들어 먹고, 오곡밥을 지어먹으며 정월대보름 아침에는 부럼이라고 하는 껍질이 단단한 견과류를 깨물어서 마당에 버리는데, 이렇게 부럼 깨기를 하면 1년 내내 부스럼이 생기지 않는다고 전해 내려온다.


또한 귀밝이술이라 해 보름날 아침에 데우지 않은 찬 술을 마시면 일 년 내내 좋은 소식만 듣고 귀가 잘 들리게 한다는 의미도 있다.


전통행사 달맞이는 대보름날 초저녁달이 뜨기 전에 산이나 동산 등 높은 곳으로 올라간다. 이때 꽹과리·징·북 등 악기를 동반한 농악패가 함께 올라가 보름달이 떠오르는 순간 악기를 울리면 달맞이 나온 사람들이 모두 머리를 숙이고 마음속으로 소망을 빈다.


그 외에도 달집태우기, 지신밟기와 쥐불놀이 등이 있는데, 들판에서 그해의 새싹이 잘 자라고 전답의 해충이 소멸되도록 쥐불을 놓기도 한다. 이러한 전통행사지만 요즘은 화재의 위험성 때문에 금지하는 게 많은 것이 현실이다.


정월대보름 이날은 농사철로 접어드는 때이며, 마을전체가 축제의 분위기에 휩싸이면서 마을 공동의 대동의례·대동회의·대동놀이 등으로 공동체 인식을 새롭게 다지기도 하는 날이다.


대보름날 밤에 뒷동산에 올라가 달맞이를 하며 소원을 빌면서 1년 농사를 점치기도 한다. 달빛이 희면 많은 비가 내리고 붉으면 가뭄이 들며, 달빛이 진하면 풍년이 오고 흐리면 흉년이 든다고 한다.


대보름 하루 전날인 14일 밤에 잠을 자면 눈썹이 하얗게 센다고 해서 밤에 잠을 자지 않는 풍습도 있다. 혹시 자는 아이가 있으면 어른들이 짓궂게도 눈썹에 쌀가루나 밀가루를 바르기도 해 아이가 울음을 터뜨리기도 한다.


이처럼 음력 새해의 첫 보름날은 전통적인 농경사회의 풍습이 이어져 농사와 관련된 행사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구독 후원 하기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