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의이씨(全義李氏) 부정공파(副正公派)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획/특집

전의이씨(全義李氏) 부정공파(副正公派)

본지는 ‘고령지역 세거성씨(世居姓氏) 연원(淵源)을 찾아서’를 격주로 기획 연재한다. 씨족연원(氏族淵源), 현조(顯祖), 고령입향(高靈入鄕) 내력 및 시기, 입향조(入鄕祖) 이 후 역대 인물 등을 문헌적 고증(考證)을 근거로 밝힘으로써 각 문중 고유의 씨족연원(氏族淵源), 열조(烈祖)들의 위업(偉業), 올곧은 정신 및 문화유산(文化遺産)을 이해하는 계기를 마련코자 하오니 관심 있는 문중들의 많은 참여를 바라며, 이번호에는 전의이씨(全義李氏) 부정공파(副正公派)를 소개한다.

전의이씨장육당상곡리478-2.JPG

전의이씨 장육당(상곡리 478-2)

 

1. 씨족연원(氏族淵源)

 

(1) 전의이씨(全義李氏) 시조(始祖) 이도(李棹)


초휘(初諱)는 치(齒)이다. 고려통합삼한개국익찬이등공신(高麗統合三韓開國翊贊二等功臣) 삼중대광태사(三重大匡太師) 전산후(全山侯)로 시호(諡號)는 성절(聖節)이다.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고려 태조 왕건(王建)이 남정(南征 : 무력으로 남쪽 지방을 침)하는 대군(大軍)을 이끌고 금강(錦江)에 이르렀을 때 마침 홍수로 강물이 크게 넘쳐 진군(進軍)을 하지 못 할 때 공(公)께서 도강책(渡江策 : 강을 건너는 방책)을 주도(主導)하여 전군(全軍)이 무사히 강을 건너게 하여 후백제 견훤(甄萱)을 정벌하는데 큰 공을 세워 이에 왕이 ‘도(棹)’로 사명(賜名)하였다.


(2) 전의이씨(全義李氏)에서 분적(分籍)된 예안이씨(禮安李氏)


이천(李仟)의 차남 이혼(李混)이 벽상삼한첨의정승(壁上三韓僉議政丞)에 올라 예안백(禮安伯)에 봉군(封君)되었고 이혼(李混)의 장손 이익(李翊) 또한 보문각제학(寶文閣提學)을 역임하고 예안백(禮安伯)으로 봉군되어 전의(全義)로부터 예안(禮安)으로 분적(分籍)하여 후손들이 예안(禮安)으로 관향(貫鄕)을 삼았다.
(3) 가훈(家訓) ‘가전충효(家傳忠孝) 세수인경(世守仁敬)’
강원도관찰사(江原道觀察使) 효정공(孝靖公) 이정간(李貞幹)이 100세의 노모 앞에서는 색동옷을 입고 병아리를 희롱하여 어머니를 즐겁게 하는 등 하늘이 내린 효자로 이름을 날렸다. 세종이 이 사실을 알고 ‘가전충효(家傳忠孝) 세수인경(世守仁敬)’ 즉 가정(家庭)에서는 충효(忠孝)의 법도(法度)를 전승(傳承)하고 사회(社會)에서는 인자(仁慈)하고 공경(恭敬)하는 기풍(氣風)을 지키도록 하라는 가르침을 어필(御筆)로 내렸는데 이는 후대에 전의이씨(全義李氏) 가훈(家訓)이 되었다.
(4) 분파(分派)
대파(大派)로 분류하면 대사성공파(大司成公派), 문장공파(文莊公派), 전서공파(典書公派)로 갈리며 3개파를 중심으로 45개 소파(小派)로 분파(分派)되었으며 부정공파(副正公派)는 전서공파(典書公派)에서 분파(分派)되었다.
(5) 전의이씨(全義李氏) 관내 세거(世居) 현황
①『2000년 인구주택총조사 성씨 및 본관보고서』에 의하면 고령군 관내에  전의이씨(全義李氏)는 79가구 205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② 고령 입향조 이지화(李之華)의 후손 중 장자계열은 다산면 상곡리에 세거하고 공의 현손으로 생원시(生員試)에 입격(入格)된 후 회연서원(檜淵書院) 원장을 지낸 이복후(李復厚)의 후손들은 다산면 월성리 차남(車南)에서 집성촌(集姓村)을 이루며 세거하고 있다.

 

2. 현조(顯祖)


(1) 고려시대


① 이천(李仟)
자는 수덕(樹德) 호는 동암수(東巖叟)이다. 보승별장(保勝別將) 순(順)과 중랑장(中郞將) 충(沖)의 따님인 음성채씨(陰城蔡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응양군대장군(鷹揚軍大將軍)과 지례부사(知禮部事) 중서시중문하평장사(中書侍中門下平章事)를 역임하였다. 고종 43년(1256년) 6월 몽고 제6차 침입군을 막기 위하여 수군 200여명을 인솔하고 남도(南道)로 내려가 온수현(溫水縣 : 지금의 충청남도 아산)에서 적군 수십 명을 죽이고 납치된 백성 100여명을 구하였다. 당시 집권자 최항(崔沆)이 그의 사졸(士卒 : 군사)에게 은 6근을 상으로 내렸다. 1994년 5월에 진수(進水)한 대한민국 국산 잠수함(潛水艦) 제 1호 ‘이천함(李仟艦)’은 국난기(國難期)에 세운 그의 전공을 기려 명명(命名)된 것이다.


② 이언충(李彦冲)
 입지(立之)이며 호는 운재(芸齋)이다. 성균관(成均館) 대사성(大司成) 자원(子)과 군기감정(軍器監正) 유선(惟銑)의 따님인 영가(永嘉) 군부인(郡夫人) 안동김씨(安東金氏) 사이에서 원종 14년(1273년) 태어났다. 충렬왕 18년(1292년) 사마시(司馬試)에 장원(壯元)으로 뽑혔고, 충렬왕 20년(1294년) 문과에 등제(登第)하여 내시(內侍)에 속하였다가 군부좌랑(軍簿佐郎)에 승진되었다. 뒤에 대사성(大司成)·진현관제학(進賢館提學)·지제고(知制誥)·선부전서(選部典書)·전의령(典儀令)을 역임하고, 충숙왕 8년(1321년) 하정사(賀正使)로 원나라에 갔다. 집의(執義)를 거쳐 벼슬이 광정대부(匡靖大夫)·정당문학(政堂文學)·첨의평리(僉議評理)·예문관 대제학(藝文館 大提學)·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에 이르렀다. 충숙왕 7년(1338년) 졸(卒)하였다. 시호(諡號)는 문의(文義)이다.


(2) 조선시대


① 이구직(李丘直)
봉상대부(奉常大夫) 전법총랑(典法摠郞) 득영(得榮)과 감찰대부(監察大夫) 정(靖)의 따님인 문화유씨(文化柳氏) 사이에서 충숙왕 8년(1339년) 태어났다. 개성윤(開城尹)·삼사좌윤(三司左尹)·형조전서(刑曹典書)·공주목사(公州牧使)를 역임하고 가정대부(嘉靖大夫) 호조전서(戶曹典書)에 올랐으며 1392년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에 책록(策錄)되었다. 태조 3년(1394년) 졸(卒)하였다. 자헌대부(資憲大夫) 참찬의정부사(參贊議政府事)에 추봉(追封)되었다.


② 이문간(李文幹)
호조전서(戶曹典書) 구직(丘直)과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 인관(仁琯)의 따님인 낙안김씨(樂安金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호조좌랑(戶曹佐郞)·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풍저창사(豐儲倉使)를 역임하고 중훈대부(中訓大夫) 군기시부정(軍器寺副正)으로 치사(致仕)하였다. 생졸년(生卒年) 미상(未詳)이다.


③ 이계손(李季孫)
군기시부정(軍器寺副正) 문간(文幹)과 지주사(知奏事) 보린(寶麟)의 따님인 숙인(淑人) 안동김씨(安東金氏) 사이에서 세종 1년(1419년) 태어났다. 초명(初名) 은 계손(繼孫)이었다. 세종 20년(1438년) 식년시(式年試) 문과에 급제한 후 사헌부(司憲府) 감찰(監察)을 거쳐 상서원(尙瑞院) 주부(主簿)를 지냈다. 남해현감(南海縣監)·철산군수(鐵山郡守)·사재감부정(司宰監副正)·순천부사(順天府使)를 거쳐 통훈대부(通訓大夫) 영해부사(寧海府使)를 역임하고 성종 15년(1484년) 졸(卒)하였다. 가선대부(嘉善大夫) 병조참판(兵曹參判)에 증직(贈職)되었다.


④ 이세분(李世芬)
자는 방숙(芳叔)이다. 영해부사(寧海府使) 계손(季孫)과 공주목사(公州牧使) 양(揚)의 따님인 능성구씨(綾城具氏) 사이에서 세종 20년(1438년) 태어났다. 세조 5년(1459년)에 무과에 급제한 후 성종 2년(1471년) 부장(部長)으로 좌리원종공신(佐理原從功臣)의 녹훈(錄勳)되었다. 그후 선전관(宣傳官)·도총부(都摠府) 경력(經歷)을 거쳐 사복시정(司僕寺正) 겸(兼) 내승(內乘)에 이르렀다. 연산군 6년(1500년) 졸(卒)하였다.

 

3. 고령(高靈) 입향(入鄕)


의병장(義兵將) 이종문(李宗文)의 차남 이지화(李之華)가 광해군 3년(1611년) 대구부(大邱府) 하빈현(河濱縣)에서 당시 성주목(星州牧) 관내 상곡(上谷) 으로 솔권(率眷 :  온 집안 식구를 거느리고 가거나 옴) 이거(移居) 정착(定着)하니 그후 후손들이 대대로 이곳에 집성촌을 이루고 세거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입향조(入鄕祖) 이지화(李之華)가 이거하기 이전까지 상곡은 그의 조부인 이경두(李慶斗)의 배위 파평윤씨(坡平尹氏) 집안이 살았던 곳으로 전해 온다.

 

4. 입향조 이후 역대 주요인물


(1) 조선시대


① 이지화(李之華)
자(字)는 이실(而實)이고 호(號)는 다포(茶圃), 부강거사(浮江居士), 동계(東溪)이다. 의병장(義兵將) 낙포(洛浦) 종문(宗文)과 대구 유학의 종장(宗長) 계동(溪東) 경창(慶昌)의 따님 증(贈) 숙부인(淑夫人) 옥산전씨(玉山全氏) 사이에서 선조 21년(1588년) 차남으로 태어났다.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과 낙재(樂齋) 서사원(徐思遠)의 문인이다. 광해군 2년(1610년) 진사시(進士試)에 입격(入格)한 후 광해군 5년(1613년) 백형 이지영(李之英)과 함께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동방급제(同榜及第)하여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 설서(說書)·예문관(藝文館) 검열(檢閱)·대교(待敎)·사헌부(司憲府) 정언(正言)을 지내고 간신 이이첨(李爾瞻)을 탄핵하다가 파직되자 낙향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예천군수(醴泉郡守)를 거쳐 정주(定州)·김해(金海)·창원(昌原)·파주(坡州)의 목사(牧使)를 지내고 병조참의(兵曹參議)·예조참의(禮曹參議) 등을 역임하고 1627년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의병장 장현광(張顯光)의 막하(幕下)에서 군량(軍糧)의 조달(調達)에 힘썼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에는 의병(義兵)의 창의(倡義)를 독려하는 호소사(號召使) 종사관(從事官)으로 활약하였다. 현종 7년(1666년) 졸(卒)하였다.


② 이시격(李時格)
자는 정숙(正叔)이며 호는 강고(江皐)이다. 통덕랑(通德郞) 윤(玧)과 진천송씨(鎭川宋氏) 사이에서 인조 16년(1638년) 태어났다. 숙종 2년(1676년) 무과(武科)에 급제한 후 숙종 4년(1678년) 비변사(備邊司) 낭청(郎廳)을 거쳐 훈련부정(訓練副正)·홍주영장(洪州營將)·고원현감(高原縣監)·해미현감(海美縣監)·벽동현감(碧潼縣監)이 되어 혜정(惠政)을 베풀었다. 문장(文章)과 시율(詩律)이 훌륭하였고 예서(隸書)와 초서(草書)에 능하였다. 숙종 24년(1698년) 졸(卒)하였다.


③ 이현(李玹)
초명은 호(琥)이고 자는 형중(瑩仲)이며 호는 동호(東湖)이다. 적성현감(積城縣監) 지형(之馨)과 판윤(判尹) 선(銑)의 따님인 파평윤씨(坡平尹氏) 사이에서 광해군 12년(1620년)에 태어났다. 인조 20년(1642년) 식년(式年) 진사시(進士試)에 입격(入格)하고 효종 2년(1651년) 식년(式年)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사과(司果)·병조좌랑(兵曹佐郞) 겸 춘추관기사관(春秋館記事官)을 거쳐 하동현감(河東縣監)으로 재임 중 현종 1년(1660년) 졸(卒)하였다.


④ 이익필(李益馝)
자는 문원(聞遠)이고 호는 하옹(霞翁)이다. 벽동군수(碧潼郡守) 시격(時格)과 숙부인(淑夫人) 연안이씨(延安李氏) 사이에서 현종 15년(1674년) 태어나 재종숙(再從叔)인 진주(震柱)에게 출계(出系)하였다. 숙종 29년(1703년) 별시(別試) 무과(武科)에 급제(及第)한 후 도사(都事)·첨정(僉正)·선천부사(宣川府使)·여주목사(驪州牧使) 등 내외직을 두루 거치고 영조 4년(1728년) 이인좌(李麟佐)가 난을 일으키자 도순무사(都巡撫使) 오명항(吳命恒)과 함께 금위우별장(禁衛右別將)에 제수(除授)되어 항상 선봉에 나서서 독전(督戰 : 독려하고 사기를 북돋워 줌)하여 난을 평정(平定)한 전공으로 분충효의병기협모보사공신(奮忠效義炳幾協謨保社功臣) 3등에 녹훈(錄勳)되고 영조 13년(1737년) 전양군(全陽君)에 봉하여졌으며 전라병사(全羅兵使)·평안병사(平安兵使) 등을 역임하였다. 영조27년(1751년) 졸(卒)하였다. 병조판서(兵曹判書)에 추증(追贈)되었다. 정조 14년(1790년) 양무(襄武)의 시호를 받았고 고종 27년(1890년) 부조지묘(不兆之廟)에 관원을 보내어 치제(致祭)케 하였다. 문집으로 『하옹집(霞翁集)』이 전한다.


⑤ 이관후(李觀厚)
자는 대관(大觀)이며 생원(生員) 익혐(益)과 처사 후(煦)의 따님 안동권씨(安東權氏) 사이에서 숙종 19년(1693년)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영조 1년(1725년) 을사(乙巳) 증광(增廣)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분무공신(奮武功臣) 전양군(全陽君) 익필(益馝)의 양자(養子)가 되었다. 영조 4년(1728년) 이인좌(李麟佐)의 난에 공을 세워 분무원종공신(奮武原從功臣) 3등에 녹훈(錄勳)되고 예조좌랑(禮曹佐郞)·춘추관(春秋館) 기사관(記事官)·병조좌랑(兵曹佐郞)·사헌부(司憲府) 지평(持平)을 역임하였다. 생부(生父) 익혐(益)과 맏형 곤후(坤厚), 둘째 형 복후(復厚)가 사마시(司馬試)에 급제하고 동생 항후(李恒厚)는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5부자(五父子) 등과(登科) 집안’으로 세간(世間)의 칭예(稱譽)를 받았다. 졸년(卒年)은 미상(未詳)이다.


⑥ 이재숭(李在崇)
초명(初名)은 사목(思睦)이고 자는 영숙(永叔)이며 호는 천와(遷窩)이다. 벽재(躄齋) 규운(奎運)과 명화(命和)의 따님인 한산이씨(韓山李氏) 사이에서 영조 45년(1769년) 태어났다. 순조 1년(1801년) 식년(式年) 생원시(生員試)에 장원(壯元)으로 입격(入格)한 후 동년(同年) 식년(式年)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승정원(承政院) 주서(注書)로 벼슬을 시작하였는데 물흐르듯 문장을 써서 조금도 막히거나 주저하는 일이 없었다. 주서(注書)로 경연(經筵)에 입시(入侍)하여  임금 앞에 나아가 경서 등을 강론(講論)하였다. 이조(吏曹)와 병조(兵曹)의 전랑(銓郞)·사헌부(司憲府) 지평(持平)·사간원(司諫院) 정언(正言) 등을 역임하였다. 순조 33년(1833년) 황산찰방(黃山察訪) 재임 시 선정(善政)을 베풀어 공덕을 기리는 거사비(去思碑)가 세워졌다. 헌종 11년(1845년) 졸(卒)하였다.


⑥ 이재익(李在翊)
자는 용우(用祐)이며 처사(處士) 규문(奎文)과 정택(鼎宅)의 따님인 여주이씨(驪州李氏) 사이에서 정조 8년(1784년) 태어났다. 순조 28년(1828년) 식년(式年)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사간원(司諫院) 정언(正言)과 강령현감(康翎縣監)을 지냈다. 강령현감(康翎縣監) 재직 시 봉록(俸祿)으로 명륜당(明倫堂)을 중수(重修)하여 안렴사(按廉使)의 칭송을 받았다. 철종 5년(1854년) 졸(卒)하였다.


⑦ 이종기(李種杞)
초명(初名)은 종도(鍾燾)이고 자는 기용(器容)이며 호는 만구(晩求) 또는 다원거사(茶園居士)이다. 소려(小廬) 능용(能容)과 생원(生員) 이원(以元)의 따님인 광주이씨(廣州李氏) 사이에서 헌종 3년(1837년) 차남으로 태어나 당숙(堂叔) 현용(鉉容)에게 출계(出系)하였다. 학문의 연원은 가학(家學)에 의해 이루어 졌으나 종조부 벽재(躄齋) 이규운(李奎雲)·장인(丈人) 소암(小庵) 이종희(李宗熙)의 학맥(學脈)이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과 정재(定齋) 유치명(柳致明)에 연계되어 퇴계학(退溪學)의 정맥(正脈)을 이어 받았다. 도산서원(陶山書院) 원장(院長)에 두 차례나 천임(薦任)되는 등 도덕(道德)과 문장(文章)으로 통달하여 일세(一世)의 사표(師表)로서 추앙(推仰)을 받았다.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심합리기설(心合理氣說)’을 지지하고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의 심즉리설(心卽理說)을 비판하였고 예(禮)의 실행과 관련하여 무엇보다도 상황논리(狀況論理)를 강조했다. 즉 실질과 현실의 측면을 중시하고 형식논리에 얽매이지 않았다.  불교에 관해서는 비교적 온건한 비판적 입장을 견지하였으나 서학(西學)에 대해서는 강경한 척사의식(斥邪意識)을 보였다. 공의 문인은 200여 명에 이르며 고종 39년(1902년) 졸(卒)하였다. 만구(晩求) 이종기(李鍾杞) 선생의 문집 책판 413장이 ‘유교책판(儒敎冊版)’과 함께 제12차 유네스코 지정 세계기록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2) 근·현대 인물


① 이종식(李鍾植) : 9. 10대 국회의원, 연합통신 전무, 방통위원

② 이만호(李萬浩) : 10회 행시, 서울지방노동위원회위원장,대구지방노동청장

③ 이종천(李鍾天) : 레바논 총영사, 한국 사우디친선협회 회장

④ 이종인(李鍾氤) : 한국지역난방기술(주) 사장, 산업통상자원부 국장(이사관)

⑤ 이종술(李鍾述) : 대구시 공무원 교육원장(부이사관)

⑥ 이종건(李鍾建) : 대구도시철도건설본부 부장, 대구대 초빙교수

⑦ 이찬세(李贊世) : 국토해양부 기술안전국 서기관

⑧ 이달호(李達浩) : 제7대 전반기 고령군의회 의장

⑨ 이홍균(李洪均) : 48회 행시, 대통령 비서실 행정관

⑩ 이승호(李承浩) : 40회 사시, 대검찰청 마약과장, 조직범죄과장, 변호사

⑪ 이상우(李尙佑) : 44회 사시, 서울중앙지법원 판사

 ⑫ 이종민(李鍾旼) : 49회 사시, 창원지법판사, 서울서부지법 부장판사 ⑬ 이종학(李鍾鶴) : 대구카톨릭대 교수

⑭ 이동훈(李東勳) : 미국 인디아나주립대학교 교수

⑮ 이곤호(李坤浩) : 경상대 교수

⑯ 이안호(李安浩)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수석 연구원

⑰ 이  열(李  洌) : 다산농업협동조합장

⑱ 이종현(李宗炫) : 대구광역시교육청 예산법무과장

⑲ 이종필(李鍾泌) : 삼성전자 상무

⑳ 이경호(李敬浩) : 한국전력(주) 교육원장

 

 

자료제공 : 후손 이봉호(李鳳浩)
집필 : 향토사학자 이동훈(李東勳)
정리 : 편집국장 최종동(崔鍾東)

 

구독 후원 하기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