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뭄이 심하면 신을 화나게 하라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피니언

가뭄이 심하면 신을 화나게 하라

김 년 수

 

올해는 가뭄이 유달리 길어 애를 태우고 속을 바짝바짝 태운다. 해서 전국적 간절함으로 비를 기다리고 있다. 기우제(祈雨祭)란 가뭄이 들었을 때 비가 내리기를 비는 제사이다. 우리 역사 속에 비를 부르는 기우제는 어떠했을까 그 기록을 들여다본다. 우선 조선시대 김령(金)이 기록한 계암일록(溪巖日錄)에는 기우제가 나온다.


예로부터 우리나라에서는 농업을 기본으로 삼아왔다. 농업에는 물이 필요하며, 그것은 곧 비를 의미하였다. 특히, 벼농사에는 적절한 강우량이 필요하나 우리나라에서는 장마철에만 집중적으로 비가 내리고 그 전후에는 가뭄이 계속되는 경우가 자주 있었다. 따라서 수리시설이 부족했던 옛날일수록 기우제는 많을 수밖에 없었고, 그것은 전국적으로 보편적인 현상이었다. 농민의 생사를 좌우하는 것이 농사이고, 그 농사를 좌우하는 것이 바로 비였기 때문에 기우제에는 가능한 모든 방법이 동원되어 왔다.
기우제의 유형은 몇 가지가 있는데 먼저 산 위에 장작을 쌓아놓고 불을 놓는 방법이 있다. 이는 산에서 불을 놓으면 타는 소리가 천둥 치는 소리같이 난다는 데서 비롯된 것이라고도 하며, 연기를 통해 하늘에 비손한다는 뜻이라고도 한다. 또 성물(聖物)이나 성역(聖域)을 더럽히거나 신에게 압력을 넣는 방법도 있다. 성물이나 성역에 더러운 것을 뿌리거나 넣으면 신이 비를 내려 깨끗하게 해주리라 생각했으며, 신을 모독하거나 화나게 하여 강압적으로 비를 오게 하기도 한다. 부정물은 개, 돼지의 피나 똥오줌이 주로 쓰는데, 전라도 지방에서는 마을 여인네들이 모두 산에 올라가 일제히 오줌을 누면서 비를 빌기도 했다. 아이들이 짚으로 용의 모양을 만들어 두들기거나 끌고 다니면서 비구름을 토하라고 강압하기도 하는데 아이들은 어떤 행동을 하더라도 용서받을 수 있다고 생각했기에 한 방법이다.


그러한 비에 대한 관심은 단군신화의 환웅이 풍백(風伯)·우사(雨師)·운사(雲師)를 거느리고 내려 왔다는 기록에서부터 보인다. 삼국시대에는 삼국이 각각 시조묘·명산대천 등에 기우제를 올렸던 기록들이 삼국사기에 보인다. 그 중에는 왕이 직접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도 있다. 


농사는 나라의 뿌리였으므로 가뭄이 들면 임금이 나랏일을 잘못해 내리는 천벌이라 여겨 임금 스스로 몸을 정결히 하고 하늘에 제사를 지냈으며, 식음을 폐하고 거처를 초가에 옮기고, 죄인을 석방하기도 했다. 이때 백성은 시장을 오가고, 부채질을 하거나 양산을 받는 일을 하지 않았으며, 양반도 관(冠)을 쓰지 않았다. 


인디언 들이 기우제를 드리면 100% 비가 온다고 한다. 과학 기술이 발달한 현대 사회에서조차 “100%”라는 말을 쓸 수 있는 경우가 드물거늘,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


그들만의 놀라운 비법은 다음과 같다. 이 인디언들은 비가 올 때 까지 기우제를 지낸다고 한다. 제를 지내도 비가 내리지 않으면, 아직 하늘이 보시기에 부족함이 있구나 생각하고 더욱 정성을 들여 제를 지낸다. 그 기우제는 계속 이어지게 되고 결국은 그들의 바람대로 하늘은 단비를 내려주게 된다.


여기서 인디언 기우제와 같은 포기하지 않는 자세를 가진 사람들이 ‘성공(정신적, 사회적, 금전적)’한다는 결론을 유추한다. 인생은 단거리가 아니라 기나긴 장거리이기에 가장 중요한 덕목은 재능이 아니라 인내라는 뜻이다.


이제 기우제 지내는 일이야 없지만 이처럼 귀한 물을 함부로 쓰는 일은 없어야겠다.

 

* 사외(社外) 기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구독 후원 하기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